광주 광천동 재개발사업 예정지
시, 교통체계 개선 등 7가지 보완 ‘조건부 승인’
42만㎡에 아파트 48동 건설…광천교회 등은 보존
42만㎡에 아파트 48동 건설…광천교회 등은 보존
광주지역의 56개 재개발·재건축 사업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서구 광천동 재개발 사업이 첫 고비를 넘겼다.
광주시는 1일 “서구 광천동 670 일대 재개발 사업계획안을 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가 지난달 31일 교통·환경·녹지 등 7가지를 보완하는 조건으로 승인했다”며 “이로써 원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비 1조원대의 광천동 재개발이 속도를 내게 됐다”고 밝혔다. 승인 조건에는 구역 안 보행도로 확대, 교통체계 개선, 녹지환경과 경관계획 확대 등이 포함됐다.
이 사업은 낡은 주택지인 광천동의 효광초등학교와 광천시장 일대 42만6380㎡(12만9200평)에 있는 주택 3067가구를 허는 대신, 지하 2층 지상 10~34층 아파트 48개동 5317가구를 짓는 것이다.
시는 예정지역이 서민 주거지라는 특성을 고려해 원주민 정착률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분양아파트 4862가구 중 85.2%인 4147가구는 국민주택 면적인 85㎡ 이하로 짓고, 임대아파트 455가구도 소형인 39.9~49.5㎡로 지을 계획이다.
마을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1980년 5·18 민주화운동 직후 ‘들불야학’의 활동무대였던 광천동성당과 광천교회 등 건물 9동을 보존하기로 한 결정이 눈에 띈다.
안용훈 시 도시재생과장은 “도심 재생 사업의 물꼬를 트기 위해 이곳의 분양아파트 평수를 소형 위주로 권장하고, 임대아파트 입주를 시가 책임지기로 했다”며 “올해 안에 착공하는 것이 목표지만 관건은 시공업체 선정과 분양 전망”이라고 말했다.
2006년부터 추진된 이 사업은 여태껏 광주지역 최대 규모의 재개발 사업이어서 주목을 끌었지만 주민 찬반 갈등, 주민의 법정 소송, 무등산 조망권 침해 및 광주천 경관 훼손 논란 등으로 느리게 진척됐다. 지난해 7월과 11월 두 차례 도시계획심의위에 상정됐으나, 재개발추진위원회와 재개발에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의 갈등이 치열하고, 세입자·영세민의 정착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등의 이유로 유보된 바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전문가 7명이 참여한 도시계획위 소위원회가 승인 조건을 이행했는지를 확인한 뒤 3월 말 정비구역 지정을 고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비구역 지정 이후에는 조합 설립, 시공업체 선정, 사업시행 인가, 주택 철거와 이주 등이 이어진다.
시는 분양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드넓은 사업지에서 한꺼번에 공사를 벌이지 않고, 단계적·점진적으로 착공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