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 주민 2500여명이 15일 오전 영광군 홍농읍 영광원자력본부 앞에서 범군민 결의대회를 열어, 잦은 고장에다 품질검증서를 위조한 불량부품 사용 비리까지 드러난 영광 원전 6기의 전면 가동 중지와 정부의 사과를 촉구하고 있다. 영광/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2500여명 7년만에 대규모 시위
잇단 고장에 “가동중단·안전을”
“정부·한전 답없으면 입구봉쇄”
잇단 고장에 “가동중단·안전을”
“정부·한전 답없으면 입구봉쇄”
원자력발전소의 잦은 고장과 잇단 비리로 불안감이 높아진 전남 영광 주민 2500여명이 15일 원전 가동 중단과 안전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영광 원전 정문 앞에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장기농성에 들어갔다.
영광원자력발전소 범군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11시께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 한국수력원자력㈜ 영광원자력본부 정문 앞에서 영광 원전 가동 중지와 안전성 확보를 촉구하는 군민 결의대회를 열었다. 영광에서 원전 반대 시위가 벌어진 것은 2005년 8월 핵폐기장 반대 집회·시위 이후 7년 만이다.
결의대회에는 영광 11개 읍·면 주민들과 진보·보수를 아우른 130여개 사회단체, 원불교·천주교 등 종교계가 두루 참여했다. 현지 농·수·축협이 휴업했고, 인근 전북 고창과 광주에서도 환경단체들이 동참했다. 영광읍~홍농읍 20여㎞ 도로에는 “불안해서 못살겠다”, “원전 가동 중지하라”고 쓴 펼침막 수백장을 내걸어 성난 민심을 드러내 보였다.
나승만 범군민대책위 공동위원장은 “영광 원전은 올해도 3월28일 2호기 가동 중지를 시작으로 11월5일 품질검증서를 위조한 불량 부품을 쓴 5·6호기 가동 중단까지 고장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11월9일 드러난 3호기 제어봉 안내관 균열은 사상 유례가 없고 우리 기술로는 해결조차 못한다니 어떻게 편하게 잠을 잘 수 있느냐”고 성토했다.
김양봉 홍농읍 주민대표는 “자고 나면 터지는 사고는 홍농 주민뿐 아니라 국민 모두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날마다 원전의 굉음을 들으며 살고 있는데 20여년 전 약속했던 대피소와 대피로는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라고 개탄했다.
참가자들은 △정부의 석고대죄 △영광 1~6호기 전면 가동 중단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체 △재가동에 앞서 군의회 동의 등을 촉구한 뒤, 김대겸 영광원자력본부장에게 결의문을 전달했다. 참가자들은 ‘제 기능을 못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상징하는 허수아비를 불태웠다.
2시간 남짓 집회를 마친 주민들은 영광 원전 정문 앞에 길이 6m, 너비 3m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장기투쟁에 나섰다. 범군민대책위는 한달 동안 영광 원전 앞에서 집회를 열겠다고 신고했다.
김양모 범군민대책위 집행위원장은 “결의대회는 투쟁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다. 청와대·정부·한전 등 5곳에 결의문을 전달하고 이달 말까지 답변이 없으면 원전 어귀를 봉쇄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날 16개 중대 2000여명을 동원해 시설 경비와 충돌 방지에 나섰다.
영광/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