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11일 산불경보를 ‘경계’로 높이고 초동진화와 예방활동을 강화하는 것을 뼈대로 한 봄철 대형 산불방지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최근 날씨가 초여름 기온까지 오르내려 낙엽 등이 바싹 말랐고 강풍도 예보돼 있었다는 점에서 뒷북 대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대책을 보면, 20일부터 한달 동안 운영하려던 산불 특별대책 기간을 이날부터 다음달 말까지로 늘리고 취약지점에 감시원 2만3천명을 배치했다. 또 산불 감시용 폐회로텔레비전(CCTV) 913대와 산림청 소속 헬기를 동원해 산불 발생 여부를 감시한다.
산불이 크게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193개 기계화 진화대를 꾸리고, 시장·군수가 진화 지위를 맡아 인력 동원의 효율성을 높였다. 진화·인명구조·응급조처를 위해 행정기관, 국방부, 소방방재청과 협력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산불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산림의 30%는 입산통제구역, 전체 등산로의 50%를 부분 개방구간으로 지정했다.
소방 전문가들은 ‘기간’보다 ‘기상 상황’에 따라 산불 방지 대책이 가동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정기성 원광대 소방행정학부 교수는 “소방법에는 기온이 높아지고 습도가 낮아지면 화재경보를 발령하도록 돼 있다. 산불 예방 활동도 일정한 기간을 정해 벌이기보다 기상 상황에 따라 특별경계령을 내리는 등의 제도적 보완을 통해 피해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전체 산불의 51%, 피해면적의 84%가 봄에 발생하는 것은 건조하고 강풍이 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는 갑작스럽게 기온이 상승해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했다. 대형 산불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불 감시체계를 재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돌고래 제돌이, 내달 제주 바다로 돌아간다
■ “사람 죽이고 싶다” SNS에 쓴 당신, 경찰에…
■ 박근혜 정부 첫 국무회의 참석한 박원순 시장, 표정이…
■ 골치덩어리 F-35 전투기, 어떻게 ‘대마불사’ 되었나
■ [화보] 쓰나미 당시 떠내려온 배가 아직도…
■ 돌고래 제돌이, 내달 제주 바다로 돌아간다
■ “사람 죽이고 싶다” SNS에 쓴 당신, 경찰에…
■ 박근혜 정부 첫 국무회의 참석한 박원순 시장, 표정이…
■ 골치덩어리 F-35 전투기, 어떻게 ‘대마불사’ 되었나
■ [화보] 쓰나미 당시 떠내려온 배가 아직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