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등 종교계 사퇴 촉구 잇따라
성균관 유림 “강도 편드는 꼴” 비판
성균관 유림 “강도 편드는 꼴” 비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강연 및 발언과 관련해 종교계의 사퇴 요구가 잇따랐다.
실천불교전국승가회는 13일 오후 2시 서울 조계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 후보는 ‘위안부 문제는 일본의 사과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일본 식민지배를 정당화해 친일파보다 못한 역사관을 갖고 있다”며 “정부가 대외적으로 추진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과, 일본 군국주의 부활에 대한 문제 제기를 부정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문 후보의 총리 임명 철회와 청와대 인사책임자 처벌,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참여불교재가연대 등 불교단체 4곳도 “문 후보는 제국주의적 선교사들과 이승만, 윤치호 등 친일파의 눈으로만 서술하며 우리 민족을 미신적으로 폄훼해 조국이 아닌 강대국의 시각과 식민사관으로 무장돼, 그의 역사인식대로라면 항일투쟁을 해온 의병과 독립군과 민초들의 저항정신은 설 자리가 없다”고 비판했다.
기독자교수협의회 등 개신교 단체 11곳도 이날 오전 서울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인류 역사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가혹한 고통을 주고, 반인도적 전쟁범죄를 저지른 식민지배가 하나님의 뜻이라고 한 것은 고통받는 우리 민족을 위로한 하나님을 모독하는 죄악”이라며 “위안부 사과가 부끄럽다는 문 후보를 지명한 것은 위안부 피해자와 식민지배 정당화에 대한 일본의 공식 사과를 요구한 대일 외교정책의 포기냐”고 물었다.
이와 함께 전국 유림을 대표하는 성균관도 성명을 내어 “문 후보는 ‘조선왕조 500년은 허송세월을 보냈으니 시련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조선은 선비들이 경연을 통해 임금을 가르치고, 사관이 임금의 간섭을 배제한 채 실록을 편찬하고, 임금이 사림의 공론을 경청했던 문민국가의 모범이었다”며 “강도가 집안에 쳐들어오면 먼저 강도의 야만성을 규탄해야지, 집안 사람들이 모질지 못했다고 일제의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는 반민족적이고 몰지각한 역사인식을 가진 문 후보는 자진 사퇴하라”고 밝혔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