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 관세화 유예 종료를 발표한 18일 오전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기자회견을 앞두고 식량주권과 먹거리안전 지키기 범국민운동본부 회원들이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습적 쌀 전면개방 발표를 중단하라고 촉구한 기자회견에서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이 `정부가 식량 주권을 포기하고 있다‘며 규탄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농업 참사’ 규정 농민단체들 삭발·기자회견 등 반발
“농민한테 사형선고…식량주권을 빼앗아간 행위”
“농민한테 사형선고…식량주권을 빼앗아간 행위”
정부의 ‘쌀 관세화’ 선언을 ‘농업 참사’로 규정한 농민단체들이 항의삭발을 하거나 기자회견을 여는 등 반발하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여농) 등이 참여한 ‘식량주권과 먹거리 안전을 위한 범국민운동본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쌀 관세화는 전면 개방의 시발점”이라며 “처음에는 높은 관세를 매겨도 자유무역협정(FTA)이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 과정에서 이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인 만큼 철회해야 마땅하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발표 직전 쌀을 뿌리며 청사 진입을 시도했지만 경찰에 막혀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어 관세화 선언이 공식 발표된 뒤에는 항의표시로 김영호 전농 의장과 강다복 전여농 의장 등 4명이 삭발을 하기도 했다.
농민들은 이날 전주·광주·순천·대구·춘천 등지에서도 항의집회나 기자회견을 열어 쌀 관세화 선언을 무효화하라고 요구했다. 김정룡 전북도연맹 사무처장은 “정부의 발표는 농민한테 사형선고나 다름없고, 국민의 식량주권을 빼앗아간 행위”라고 말했다. 전남 농민들은 오는 21일 오후 2시에도 광주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새누리당 광주시당을 항의방문할 예정이다. 경북 농민들은 23개 시·군별로 규탄 펼침막을 내걸고, 지역별로 시·군청을 항의방문하기로 했다.
박형대 전농 정책위원장은 “정부가 포기한 식량주권을 농민들이 찾아오겠다. 7월 말과 8월 초 수련회를 잇따라 열어 힘을 결집한 뒤 8월20일 서울에서, 9월18에 전국에서 대규모 농민집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에서는 한달 동안 마을별로 토론회를 진행한 뒤 8월24일 전남 강진에서 기독교 시국기도회, 8월30일 광주에서 6개 종단 시국모임을 열기로 했다.
전농은 지난 17일 전국의 성인 878명을 대상으로 쌀 시장 전면 개방에 대한 의견을 물었더니, 56.3% 는 ‘식량주권 문제라서 전면 개방은 막아야 한다’, 31.5%는 ‘더 이상 피할 수 없으므로 전면 개방해야 한다’는 응답을 했다고 밝혔다.
광주/안관옥 기자, 전국종합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