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 발의 “문화센터 활용 순기능”
한편선 “학생 안전대책 우선돼야”
한편선 “학생 안전대책 우선돼야”
학교 도서관을 주민에게 개방해 지역문화센터로 활용하는 조례안이 발의됐다. 새로 건물을 짓지 않고 기존 교육시설을 활용하면 예산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등의 긍정적 의견과 안전장치 없이 학교 출입을 허용하면 학생 안전을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황인호 대전시의회 의원은 13일 “주민이 학교 도서관을 이용하도록 개방하는 것을 뼈대로 한 ‘대전시교육청 학교 도서관 개방 및 진흥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 조례안을 보면, 교육감은 학교 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도록 노력하며, 이에 필요한 행정·재정 지원을 하고, 교장은 학교 도서관이 지역문화센터의 기능을 하도록 도서관 개방을 위해 노력하도록 했다. 또 학교 도서관 개방으로 필요한 인력은 자원봉사자를 활용하고, 예산 범위에서 실비를 지급하도록 했다.
황 의원은 “마을에 작은 도서관이 문 열고 있으나 원하는 모든 마을에 작은 도서관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일부 학교에서 학교장 재량으로 도서관을 주민에게 개방하고 있는데 순기능이 많고 반응도 좋아 이를 확대 운영하자는 취지에서 조례안을 발의했다”고 말했다.
조례안이 통과되면, 대전시와 대전시교육청은 도서관 개방이 가능한 학교를 파악해 필요한 지원 대책을 마련한 뒤 학교 도서관 등 관련 시설을 개방하도록 조처할 계획이다.
그러나 학교 도서관 개방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학교를 누구나 자유롭게 출입한다면 학생 안전이 우려된다고 주장한다. 폐회로텔레비전(CCTV) 등 보안시설을 갖추고 배움터 지킴이를 운영하는데도 학교 주변에서 학생을 노린 범죄가 근절되지 않는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 지정배 전교조 대전지부 정책실장은 “학교 도서관을 지역문화센터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찬성한다. 다만 학교 여건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학생들의 안전을 우려하는 여론이 있는 만큼 충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조례안은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달 16일 열리는 216회 정례회 5차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