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들, 정부 철수 비판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정부의 진도 팽목항 철수에 대해 ‘책임 회피’라고 비판했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는 18일 전남 진도 팽목항 등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세월호 침몰사고 범정부대책본부(범대본)의 인력과 장비가 팽목항을 떠나더라도 세월호가 제대로 인양될 때까지 팽목항을 떠나지 않고 실종자를 기다리겠다”고 선언했다.
대책위는 “가족들이 잠수사의 안전을 고려해 수중 수색의 중단을 받아들이자마자 정부가 범대본을 해체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이는 ‘마지막 한 사람까지 찾아주겠다’고 했던 약속을 저버린 무책임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이어 “세월호를 인양하는 것이 실종자를 찾는 또다른 방법이자, 진상을 규명할 중대한 수단”이라며 “세월호 인양대책기구에 가족의 참여를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명선 대책위원장은 “전문가의 지식과 가족들의 의지가 결합했을 때 인양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며 “인양이 끝날 때까지 참사의 현장이자 인양의 교두보가 될 팽목항을 떠나지 않겠다. 국민들도 팽목항을 방문해 가족들을 위로하고, 제대로 인양이 되도록 감시해 달라”고 말했다. 실종자 가족 권오복(59)씨는 “남은 실종자를 찾기 위한 인양 등의 계획이 전혀 세워지지 않은 채 덜컥 범대본이 해체됐다. 절망한 실종자 여덟 가족 누구도 진도를 떠나려 하지 않는 만큼 마지막 한 사람을 찾을 때까지 최소한의 지원은 해야 마땅하다”고 호소했다.
경기도 안산의 유가족들도 범대본 철수는 진실을 은폐하려는 의도라고 우려했다. 단원고 2학년 고 김동혁군의 어머니 김성실씨는 “범대본이 팽목항에서 철수하는 것은 결국 선체 인양을 하지 않으려는 수순으로 보고 있다. 실종자를 찾기 위한 인양이 진행될 때까지 팽목항에 남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18일 진도군청에 설치했던 범대본을 해체하고 공무원 100여명을 복귀시켰다. 대신 해양수산부가 21일까지 인양 검토를 위한 민관 대책기구를 구성하고, 28일까지 실종자 가족들과의 소통을 위한 협의회를 만든다는 방침이다.
범대본 쪽은 “인력과 장비는 모두 철수하지만, 전남도에서 체육관과 팽목항에 설치한 조립식 주택 14동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진도 안산/안관옥 김기성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