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노동자의 사용기간을 기존 2년에서 4년으로 연장하는 정부 추진안을 두고 여당인 새누리당에서도 본격적인 검토 작업에 나선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은 6일 새누리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비정규직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해보면 80% 정도가 2년은 너무 짧다. 좀 더 기간을 연장해달라는 의견”이라며 “4년이 지났는데도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1년에 1개월씩 퇴직금 외에 수당을 지급하게끔 (정부에서 발표한) 제도에 그렇게 들어가 있다”고 설명하며 정부안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 의사를 밝혔다. 여기서 권 의원이 언급한 설문조사의 경우, 정작 비정규직 당사자들에겐 정규직 전환 의사는 묻지 않았던 부실한 조사였다는 지적이 앞서 나온 바 있다. (
▶ 관련 기사 : [단독] 고용부, 설문에서 ‘정규직 전환’ 묻지도 않아 )
그러나 지난 연말 발표된 정부안이 ‘장그래 양산법’이라고 불리며 거센 반발 여론이 일고 있는 점을 의식한 듯, 새누리당에서는 ‘가안이므로 대안 제시가 가능하다’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권 의원은 “정부안은 가안이고 기초안이다. 정부에서 (발표에 앞서) 당정협의를 요청했지만 정부안이 확정됐을 때 당정협의를 하는 것이 순서라고 봐 제가 거부했다. 지난 연말 발표된 비정규직 대책안은 전부 확정된 것이 아니고 얼마든지 비판이나 대안 제시가 가능하다”고 거듭 설명했다.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 또한 이날 원내대책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할 수 있는 한 비정규직을 줄이는 방향 쪽으로 정책적 방향을 생각해야 한다”며 “(정부안에서 나온 비정규직 기간을 늘리는 방안은) 미봉책”이라며 정부 안에 대해 선을 그었다. “구체적으로 뭘 할지는 얘길 나눠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권 의원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의 해법으로 ‘정규직 호봉제를 없애는 임금체제개편을 통해 정규직화에 대한 기업의 부담을 덜어줄 것’을 언급했다. 권 의원은 “(기업에서) 비정규직을 쓰는 이유가 고용의 유연성, 저임금 때문”이라며 “기본적으로 비정규직 문제를 없애는 방법은 지금처럼 1년마다 보수와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임금을 인상하는 단일호봉제에서 직무급으로 전환을 해야만 기업도 부담을 느끼지 않고 정규직화가 더 쉽다”고 말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임금 체제 개편 논의에 대해 “정부 의견도 아니고 (환경노동위에서 거론된) 하나의 안”이라면서도 “호봉제 현 임금체제로는 비정규직 문제를 풀어갈 수 없다. 연봉제로 가야 한다. 지금 정규직은 어떤 면에서 과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