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 등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성완종(64) 전 경남기업 회장이 영장실질심사가 예정돼 있던 9일 억울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원개발 비리 관련 수사에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경찰 설명을 종합하면, 성 전 회장은 이날 새벽 5시께 ‘억울하다’ ‘어머니 묘소 옆에 묻어달라’는 등의 내용을 적은 유서를 남기고 서울 청담동 집을 나섰다. 오전 8시께 운전기사와 아들이 실종신고를 했고, 경찰은 주변 방범카메라 영상을 분석해 그가 인근 호텔까지 걸어서 이동한 뒤 택시를 탄 사실을 확인했다. 휴대전화 위치추적 결과, 그는 강북 평창동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방범순찰대 등 1500여명과 헬리콥터 2대, 수색견 5마리를 동원해 평창파출소~서울예술고~형제봉 능선~정토사 등을 수색했고, 오후 3시32분께 북한산 형제봉 매표소에서 300m쯤 떨어진 장소에서 나무에 목을 매 숨진 성 전 회장을 발견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임관혁)는 9500억여원 분식회계 및 800억여원의 부당대출, 회삿돈 250여억원 횡령 등 혐의(자본시장법 위반,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의 사기·횡령)로 성 전 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지난 6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받은 그는 이날 오전 10시30분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을 예정이었다.
성 전 회장의 극단적인 선택은 주변에서도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다. 변호를 맡은 오병주 변호사는 “어제(8일) 점심때 직접 만났고, 저녁에는 변론서를 만들어 밤 10시30분께 전자우편으로 전달한 뒤 읽어보라고 직접 통화했다. 오늘 오전 9시30분에 사무실에서 만나 함께 영장실질심사를 받으러 가기로 했었는데, 심경의 변화는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다만 오 변호사는 “(성 전 회장은 혐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며 수사의 타깃이 된 게 억울하다고 여러 차례 말해왔다”고 전했다. 성 전 회장은 영장실질심사를 하루 앞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나는) 엠비(MB) 정부의 피해자”라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을 도왔는데 내가 (전 정부 수사의) 표적이 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충남 서산 출신인 성 전 회장은 초등학교 중퇴 학력으로 맨몸으로 사업을 시작해 도급 순위 26위의 경남기업 대주주 겸 경영자가 된 입지전적 인물이다. 2000년대 들어 정치에 발을 들여 2012년 선진통일당(옛 자유선진당) 소속으로 제19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새누리당으로 옮겼다.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유죄 확정으로 지난해 6월 의원직을 잃었다. 최근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회사 경영에서 손을 떼고 채권단에 지분포기각서를 제출했다. 법원은 8일 경남기업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를 결정했다. 그가 목숨을 끊은 9일은 법정관리인이 취임한 날이기도 하다. 회사를 잃는 것과 동시에 구속 위기에까지 처하자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의 자원개발 비리 수사는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검찰은 경남기업의 성공불융자 등을 살펴 성 전 회장 구속영장을 청구한 뒤, 이번주부터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 과정에서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경남기업에 특혜를 준 의혹 등을 막 파헤치기 시작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제 경남기업 수사는 물론 자원개발 공기업으로의 수사 확대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수사팀 관계자는 “고인이 어제 기자회견도 했고 영장실질심사에서도 자신의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왜 이런 불행한 일이 발생했는지 모르겠고 굉장히 안타깝다”며 “경남기업과 관련된 수사는 어렵게 됐지만 광물자원공사의 다른 의혹들에 대한 수사 등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환봉 박태우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