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픽사베이 제공
보건사회연 ‘생애주기별 소득·재산’ 조사
비슷한 학력·소득끼리 ‘동질혼’ 탓
가처분소득·순재산 비교서 큰 차이
소득 높은 가구 재산 많은 현상 심화
“독신청년·노인 소득보장 정책 필요”
비슷한 학력·소득끼리 ‘동질혼’ 탓
가처분소득·순재산 비교서 큰 차이
소득 높은 가구 재산 많은 현상 심화
“독신청년·노인 소득보장 정책 필요”
청년세대 내에서 결혼을 한 가구와 혼자 사는 가구 간 소득과 재산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높고 안정적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끼리 결혼을 하고, 결혼 이후에도 맞벌이를 계속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여유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연구위원의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의 통합 분석 및 함의’ 보고서를 보면, 전체 가구 평균값을 100으로 봤을 때 독신청년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2003년 71.6에서 2011년 67.6으로 떨어진 반면 청년부부 가구의 경우 같은 기간에 108.2에서 132.3으로 큰 폭 올랐다. 양쪽의 격차가 두 배 가까이 벌어진 것이다. 순재산도 독신청년은 23.0에서 22.4로 제자리걸음을 한 데 견줘 청년부부 가구는 52.9에서 78.1로 상승했다.
이번 보고서는 보사연의 국민생활실태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독신청년 가구, 청년부부 가구, 장년부부 가구, 노인부부 가구, 독거노인 가구 등 생애주기별 준거가구 유형 12개를 두고 소득·재산 분포를 분석했다. 만혼에 따라 유효표본 확보를 위해 독신청년은 35살 미만, 청년부부 가구주는 45살 미만으로 구분했으나, 청년부부 가구주 연령을 35살 미만으로 제한해서 분석한 결과도 경향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혼자 버는 독신가구보다 부부가구의 소득·재산이 높은 것은 당연하지만, 그 격차가 더 커지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보고서는 그 원인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진 사람이 그러지 못한 사람보다 결혼을 할 확률이 높은데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진 이들끼리의 결혼이 늘어난 데서 찾고 있다. 여 연구위원은 “소위 ‘스펙’에 따른 결혼시장의 양극화, 동질혼(같은 계층끼리 결혼) 경향과 결혼으로 인한 소득·재산 시너지 효과의 강화, 맞벌이 증가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이른바 금수저는 금수저끼리 결혼하는데다 맞벌이까지 많이 하면서 결혼 뒤 가구당 소득·재산이 크게 늘어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실제 결혼가구 가운데 남녀가 모두 상용직인 비율이 2003년 32.7%에서 2011년에는 48.2%로, 맞벌이 비율도 56.3%에서 66.4%로 증가했다.
또 우리나라 노인들은 소득뿐 아니라 자산을 기준으로 볼 때도 빈곤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에서 노인빈곤율이 높은 것은 부동산 등 자산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 하지만 2011년 기준으로 75살 미만 독거노인 가구의 순재산은 전체 가구를 100으로 놓고 볼 때 절반 아래인 45.0이며, 75살 이상 독거노인 가구는 33.8로 더 낮은 수준이다. 소득이 낮은데 재산은 많은 노인의 비율도 실제로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40%에 속하지만 재산은 상위 40%에 속하는 노인가구 비율은 75살 미만 독거노인은 14.0%, 75살 이상 독거노인은 10.5%에 그쳤다. 다만 노인부부 가구의 경우엔 34.0% 수준으로 다소 높다. 여 연구위원은 “독신청년과 독거노인의 소득과 재산 수준이 낮고 빈곤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만큼, 노동시장 정책과 사회보장 정책의 결합을 통해 두 집단의 소득 보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청년과 노인 세대를 중심으로 소득이 높은 가구가 재산 수준도 높고 소득이 낮으면 재산 수준도 낮은 현상이 점차 심화하는 소득과 재산의 ‘동행화 현상’이 새로운 불평등의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