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갭 투자’ 고양시 휩쓸자, 아파트 1000채 주인이 바뀌었다

등록 2016-10-14 04:01수정 2016-10-14 16:47

경기침체 속 수도권 집값 이상급등

‘열 채 갖기 캠페인’ 투기 열풍

작년말부터 외지인들 삼삼오오
20평대 ‘전세낀 매물’ 싹쓸이
1만8000채중 1000채 거래돼

투기꾼 수도권 소형아파트 겨냥
“지금 아파트 거래 80% 갭 투자”
집값 뛰고 전셋값 상승 부추겨
“‘내 집 열 채 갖기 캠페인’이라고 들어보셨어요?”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이아무개(58)씨는 지난봄 다른 지역에서 아파트를 사러 온 일행을 안내하다 이 얘기를 듣고 자기 귀를 의심했다고 한다. 이씨는 “얼마나 보편적으로 쓰이는 말인지는 모르겠다”면서도 “요즘 분위기를 보면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싶다”고 말했다.

20년 전 개발된 화정은 수도권 신도시 가운데 유독 집값이 안정된 곳이었다. 그러다 지난해 연말부터 시작해 지난 9월 말 20평형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50% 뛰었다. 전셋값은 상승폭이 더 커서, 집값의 90%를 돌파했다. 개발 호재 같은 건 전혀 없었다. ‘지각변동’이 시작된 시기는 낯선 이들의 무더기 출현 시기와 겹친다. 이씨는 “서너명이 택시에서 내려 사무실로 몰려 들어오는 일이 갈수록 빈번해졌다”며 “중개업자들은 그들을 ‘투자자’라고 부른다”고 했다.

외지인들은 20평형대로만 구성된 특정 단지에서 전세 낀 매물을 닥치는 대로 사들였다. 그 뒤 20평형대가 섞인 다른 단지로 옮겨갔다가, 그마저 매물이 바닥나자 30평형대 단지를 기웃거리기 시작했다. 이 지역 중개업소들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10개월 사이 화정의 아파트 1만8000채 가운데 1000채 정도가 그렇게 거래됐다. 20평형대로만 구성된 단지는 2800채 가운데 600채(약 21%)나 된다.

일단 거래가 이뤄지면 ‘갭(Gap) 투자’의 공식이 충실히 적용된다. 갭 투자란 전셋값과 집값의 차이를 이용해 전세 끼고 집을 사는 투자 방식을 말한다. 투자자들에 의해 매물이 마르니 집값부터 뛴다. 투자자들은 곧바로 전세 보증금을 집값의 90% 이상으로 올린다. 전셋값 상승은 다시 집값을 밀어 올린다. 투자자로서는 집 한 채 값이면 10채를 살 수 있고, 앉아서 돈도 버는 순환 구조가 형성된다.

이런 현상은 정도만 덜할 뿐 다른 지역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인근 일산 후곡마을 32평형대에서 사는 김아무개(49)씨는 연초 3억원대 초반이었던 집을 지난 8월 외지인에게 4억원에 팔았다. 그러고는 매수자의 제안으로 같은 집에서 3억6000만원에 전세로 산다. 대전시 월평동의 22년 된 32평형 아파트에서 전세를 사는 김아무개(54)씨는 지난 7월 외지인으로 집주인이 바뀌면서 보증금을 1억7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올려줘야 했다. 매매가는 2억1600만원이었다.

이들 지역은 공통점이 있다. 지은 지 20년 안팎 된 소형 평형 아파트가 많은 수도권이나 지방 대도시의 주변부라는 점이다. 공통점은 투자자들에게서도 발견된다. 상당수가 부산·대구를 비롯한 영남지역 사람들이다. 일산 후곡마을에 사는 김씨는 “주말에 2~3명씩 조를 짠 ‘대구 아줌마들’과 ‘부산 아줌마들’이 잇따라 집을 보러 왔다”고 했다. 대전의 김씨도 “바뀐 집주인은 부산 여성이었는데 이 집을 산 뒤에도 여러 사람들과 몰려다니는 모습을 자주 봤다”고 했다.

경기 군포시 산본에서 중개업을 하는 안아무개(49)씨는 “그들은 한 지역만 하는 게 아니라 수도권을 한 바퀴 다 돈 다음 지방을 돌아 다시 수도권으로 올라온다”며 “집값도 계속 오르고 전셋값은 더 올라 한 번 다녀가도 얼마 뒤에 다시 ‘먹을 것’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가 만난 투자자들은 적게는 10채 안팎, 많으면 100채 넘게도 갖고 있다”며 “잔금을 치르기도 전에 투자금이 빠지는 경우도 많으니까 그렇게 번 돈을 다시 투자해 몇 년만 꾸준히 사다 보면 100채도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귀띔했다.

이런 식의 투자는 부산의 한 부동산 경매학원이 효시였다는 얘기가 ‘전설처럼’ 전해진다. 화정의 중개업자 이씨는 “2013년쯤에도 외지인들이 몰려와 20평형대 집값이 20% 정도 뛴 적이 있는데, 처음엔 부산 사람들만 오다가 인근 김해나 창원 사람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때 투자자들한테서 부산의 한 부동산 경매학원에서 컨설팅을 받았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서점에는 <나는 갭 투자로 300채 집주인이 되었다> 같은 제목의 책까지 나와 있다.

산본의 중개업자 안씨는 4년 전쯤 부산에서 찾아온 ‘투자의 달인’을 회고했다. “그분이 여러 사람과 함께 찾아와 지역과 매입 조건을 찍어 줘서 제가 현장 조사를 한 다음 동행을 했어요.” 그 뒤로 안씨는 수원시 영통과 90년대에 조성된 수도권 4대 신도시에서 갭 투자를 알선하고 직접 투자도 하고 있다. 처음 인연을 맺은 이들과는 지금도 인터넷 카페와 술 자리, 축구 경기장 등에서 꾸준히 우의를 다지며 투자 정보를 나누거나 함께 발품을 판다.

요즘 화정에는 영남권을 넘어 충청권에서도 투자자들이 찾아오고 있다. 중개업자 이씨에게 ‘내 집 열 채 갖기 캠페인’이라는 말을 전한 건 서울 용산에서 온 30대 남성들이었다고 한다. 산본의 안씨는 “투자자들도 이미 전국화했고, 여기에 법인들까지 가세했다”며 “지금 거래되는 아파트의 80%는 갭 투자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광풍은 언제까지 계속될까? 산본의 안씨는 “금리가 크게 오르지 않는 한 앞으로도 먹을 것은 계속 생길 것”이라고 자신했다. 반면 화정의 이씨는 “다들 대출받아서 하는 투자여서 반드시 거품이 터지게 돼 있다”며 “세입자는 전세 보증금이라도 건지려면 부동산 경매라도 배워두라”고 권했다.

안영춘 기자 jo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