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동생 반기상씨가 국회의원에 출마했던 고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의 선거운동에서 지지 연설을 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반씨와 아들, 미국서 뇌물혐의 기소
미국 정부, 긴급인도구속 요청한 듯
반씨 “아직 법무부서 연락 못 받아”
미국 정부, 긴급인도구속 요청한 듯
반씨 “아직 법무부서 연락 못 받아”
법무부가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의 동생 반기상씨에 대한 미국 정부의 체포 요청에 대해 검토 작업에 나선 것으로 22일 확인됐다. 반기상씨는 현재 국내에 머물고 있다.
법무부는 현재 미국 정부로부터 반씨에 대한 체포 요청을 받고 자국민 신병 확보의 법률 근거 등을 검토 중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공식적인 협의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양국이 해당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반씨의 범죄 혐의에 대한 양국의 법률 차이, 외국 사법기관 공조 요청에 대한 자국민 신병 확보의 법리적 근거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한국 법무부에 ‘긴급인도구속’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한미 범죄인 인도조약을 보면 범죄인 인도 요청은 반드시 외교부를 거쳐야 하는데, 이날 외교부는 “현재까지 반기상씨와 관련한 사법공조 요청이 들어온 것은 없다”고 밝혔다. 긴급 인도구속 요청은 양국 법무부가 외교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논의할 수 있다. 앞서 지난 20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남부연방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미국 정부가 범죄인 인도조약에 따라 한국 정부에 반씨를 미국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했다는 사실이 공개됐다.
반기상씨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아직 법무부에서 연락을 받지 못했다. 법무부에서 공식적으로 통보가 오면 그때가서 인도요청에 응할지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반씨는 이어 “나는 미 정부의 공소장을 본적이 없고 내가 거기에 왜 끼어들어 갔는지도 모른다. 우리 아들도 황당해한다”며 “형님(반 전 총장)한테 부담을 주는 상황이 참 답답하다”고 말했다.
반씨는 아들인 반주현씨와 함께 지난 10일 미국 뉴욕 맨해튼 연방법원에 뇌물공여 혐의로 기소됐다. 2014년 베트남에 있는 경남기업 소유 ‘랜드마크 72’의 매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동의 한 관리에게 250만달러(약 30억원)의 뇌물을 건네려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반 전 총장 쪽은 지난 21일 보도자료를 내어 “친인척 문제로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 이 사건에 대해 아는 바는 없으나, 한·미 법무 당국 간에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면 엄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돼 국민의 궁금증이 한점 의혹 없이 해소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최현준 박태우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