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용산참사 유가족과 밀양 주민, 인권 단체 활동가들이 경찰 인권과제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최호진 교육연수생
1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공권력감시대응팀 등 34개 시민사회단체는 ‘경찰 인권과제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으로부터 부여받은 공권력을 행사하는 경찰에게 인권은 선택이 아닌 기초이자 필수”라며 “국가폭력을 경험한 당사자들의 목소리부터 귀 기울여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인권경찰’ 선언에 앞서 과거 잘못부터 사과하라는 뜻이다.
마이크를 든 밀양 주민 한옥순(70)씨는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 때 할매 10명 있었는데 경찰 3000명을 풀었다. 두분이 목숨을 끊었다”며 “국민을 위해서 민주 경찰이 돼야 한다. 죽을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최석환 백남기투쟁본부 사무국장도 “백남기 농민 위독하다는 소식 전해지자마자 부검하겠다고 경찰 병력부터 배치했다. 그래놓고 인권 경찰이 되겠다고 하니 코웃음이 난다”며 “청와대에서 수사권 이야기하니 하루 만에 경찰 입장이 바뀌었다. 이번 기회로 피해자들과 함께 바꿔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주최 쪽은 이날 기자회견을 마치고 ‘경찰 인권과제’로 경찰의 인권침해 역사에 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 평화 집회 보장, 무차별적 개인정보 수집 중단, 국민에 의한 경찰 통제, 국제인권기구와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를 즉시 이행하라는 5가지 요구안을 경찰청에 전달했다.
박수지 기자, 최호진 교육연수생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