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구로구 호프집 미제 살인 사건 용의자 공개수배 전단. 서울지방경찰청 제공.
서울 구로구의 한 호프집에서 주인을 살해하고 달아난 용의자가 15년 만에 경찰에 붙잡혔다. 당시엔 분석이 어려웠던 ‘쪽지문’(조각 지문) 분석이 기술 발전으로 가능해지면서 범인을 잡을 수 있었다.
서울지방경찰청 중요미제사건수사팀은 2002년 12월 구로구의 호프집 여주인 ㄱ(당시 50살)씨를 살해하고 금품을 훔쳐 달아난 혐의(강도살인)로 택시기사 장아무개(52)씨를 구속했다고 5일 밝혔다.
장씨는 2002년 12월14일 새벽 2시30분께 서울 구로구의 한 호프집 여주인 ㄱ씨를 둔기로 수차례 얼굴과 머리를 내리쳐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시간 전 손님으로 호프집에 들어와 ㄱ씨와 함께 술을 마시다가 종업원이 퇴근하고 ㄱ씨만 홀로 남자 저지른 범행이었다. 장씨는 ㄱ씨 지갑에서 현금 15만원과 신용카드를 훔치고 달아났다. 훔친 신용카드로는 두 차례에 나눠 65만원어치 물품을 구입했다.
이날 저녁, 종업원이 출근하고 ㄱ씨 주검을 발견한 뒤 신고해 경찰이 출동했을 때 현장에 남은 지문은 거의 없었다. 이미 장씨가 수건으로 흔적을 닦아냈기 때문이었다. 깨진 맥주병에 남은 장씨의 오른손 엄지손가락 3분의1 크기의 쪽지문이 전부였다. 당시 현장엔 시시티브이도 없었다. 당시 사건을 수사한 남부경찰서(현 금천경찰서) 형사계는 종업원과 장씨가 신용카드를 쓴 가게 주인 등을 탐문 수사해 범인을 공개수배까지 했으나 검거하지 못했고, 2007년 사건을 미제 처리했다.
영영 붙잡히지 않을 것 같은 범인이 특정되는 덴 2012년 발전된 ‘지문자동검색시스템’이 결정적이었다. 지난해부터 중요미제사건수사팀이 사건을 재수사하면서 당시 사건 발생 직후 채취해둔 쪽지문부터 분석했다. 조각난 지문의 특징을 좌표값으로 입력해 검색하자 유사한 지문이 1500여개로 추려졌다. 이를 경찰청 증거분석계 소속 감정관들이 일일이 비교해 지문의 주인인 장씨를 찾아냈다.
현장에서 발견된 족적(발자국)이 뒷굽이 둥근 형태의 ‘키높이 구두’라는 사실도 범인이 장씨라는 사실을 뒷받침했다. 장씨 집에선 이와 비슷한 뒷굽이 둥근 키높이 구두가 두 켤레가 발견됐다.
경찰은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지난달 26일 장씨를 검거했고, 29일 구속했다. 장씨는 검거 초기 범행을 부인했으나, 영장이 발부되자 눈물을 흘리며 범행을 자백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그는 경찰 조사에서 “우발적으로 범행했다”고 진술했지만, 경찰은 일용직으로 일하던 그가 금품을 훔칠 목적으로 둔기를 가방에 준비하는 등 계획적으로 범행한 것으로 보고 있다. ㄱ씨 유족은 뒤늦게나마 범인이 붙잡혔다는 소식을 듣고서 “지금이라도 잡아줘서 고맙다”고 말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