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 소속 회원들이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간제교사 정규직화를 촉구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초등교사 임용 인원 축소 논란에 이어 ‘기간제 교사 정규직화’를 둘러싼 찬반 기자회견이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열리며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교육부가 8일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어 교육 분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자마자, 정규직 일자리를 두고 현직 기간제 교사, 전문강사들과 임용시험 준비생들이 다투는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9일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앞에선 기간제 교사들의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전국기간제교사연합회는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하고도 정작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서 4만6000여명의 기간제 교사와 강사들을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비판했다.
한 기간제 교사는 “1999년부터 기간제로 일하면서 투명인간처럼 학교에서 지냈다. 부끄럽지 않고 당당하게 학생들 앞에 서고 싶다”며 “교사들 간의 대립으로 몰지 말고 교원 임용을 늘려달라”고 요구했다. 세월호 참사 때 학생들을 구하다 숨진 고 김초원 교사 아버지도 참석해 “딸이 짧게 기간제 교사 하는 동안 위축되거나 실력에 대한 자책 없이 학생을 사랑으로 지도했다”며 “일정 기간 지나면 기간제 교사들을 정규직화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간제 교사와 영어회화·스포츠전문강사의 정규직 전환에 반대한다”는 취지로 기자회견을 열고있다.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제공.
앞서 이날 오전 같은 장소에서 시민단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이 기자회견을 열어 “기간제 교사 및 영어회화·스포츠전문강사의 정규직 전환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육부가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논의에 착수한 것은 교원 임용시험을 통과한 교사나 임용고시생들과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교원 임용에는 25년 넘게 시행된 임용시험이라는 공정하고 투명한 제도가 있고, 시험을 통해 전문성과 도덕성이 검증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을 정규직화하는 것은 인기영합주의에 편승해 고시생의 노력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이들도 12일 서울 청계천 한빛광장에서 기간제 교사와 전문강사들의 정규직화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 예정이다.
박수지 기자, 김진완 교육연수생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