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시민들에게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전장연 제공
“명절에 장애인도 차별없이 고향에 가고 싶다”고 외치며 29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농성을 시작한 장애인 단체가 국토교통부와 위원회를 구성해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30일 오후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교통부와 ‘장애인이동권보장위원회’를 구성해 논의한다는 계획을 알렸다. 이들은 “전날 고속버스터미널을 찾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면담해 장애인이동권보장위원회를 15인 이내로 구성하고 11월8일 첫 회의를 열어 관련 내용을 논의하기로 협의했다”며 “첫 회의에 김 장관도 참석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장관은 장애인 이동권과 관련한 요구사항에 공감하고 정부의 책임을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특별교통수단 운영비 정부지원을 위한 법 개정 △시내버스 교체 때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전세버스 운영방안 마련 △교통정책 개발시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제도화 △평창동계 패럴림픽 개최시 장애인 이동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 등 6개 사항을 요구했다. 이들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 광장에서 추석인 4일까지 천막 농성하며 장애인 이동권 보장 서명운동을 할 계획이다.
30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시민들에게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전장연 제공
전장연은 이날 ‘추석 연휴 시민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12년전(2005년) 제정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교통약자법)을 언급하며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했다. 교통약자법 3조가 규정하는 이동권엔 ‘교통약자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받기 위하여 모든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를 차별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권리’라고 명시하고 있다.
전장연은 편지에서 “이 출발이 장애인들에게 또다시 12년의 세월이 지나야 성취될 목표가 아니기를 빌어본다”며 “다음 명절에는 꼭 구체적으로 실현될 것을 간절한 마음으로 문재인 정부에 촉구하며 한가위 보름달에 빌어본다”고 썼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