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3일 제1300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서울 종로구 수송동 평화의소녀상 앞에서 열려 참석자들이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12·28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한-일 합의를 비판해온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대해 박근혜 정부 청와대가 “정대협 실체를 알리라”며 여론공작을 벌인 정황이 드러나자 정대협이 이병기·이원종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하기로 했다.
11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지난해 1월4일 작성된 ‘비서실장 지시사항 이행 및 대책(안)’ 등의 문건을 보면, “대다수 국민이 위안부 문제 뒤에 있는 정대협 등 비판세력들의 실체를 잘 모르는데, 국민들이 그 실체를 낱낱이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같은달 24일 작성한 문건에도 “정대협 등이 ‘위안부 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집회를 추진한다는데, 참여단체의 실체가 언론에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적혀있다.
박근혜정부 청와대에서 작성된 <비서실장 지시사항 이행 및 대책(안)> 가운데 정대협 여론공작 지시 부분. 이재정 의원실 제공
박근혜정부 청와대에서 작성된 <비서실장 지시사항 이행 및 대책(안)> 가운데 정대협 여론공작 지시 부분. 이재정 의원실 제공
정대협은 이날 오후 성명을 내 “대통령 비서실장이 정대협을 마치 반정부세력이나 (불순한) 배후 세력인 것처럼 묘사하면서 정대협의 목소리를 차단하고 죽이라고 직접 지시했다”며 “문건 작성 시기의 책임자인 이병기·이원종 당시 비서실장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하겠다. 추가적인 진상이 드러나는대로 민·형사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의원실이 확보한 문건에서 위안부 관련 내용은 합의 직후인 2015년 말부터 지난해 7월까지 걸쳐 있어 이병기·이원종 비서실장이 근무하던 시기와 겹친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도 이날 낮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맞은편에서 열린 정기 수요시위에서 “지난 1년 반 동안 정대협에 몸담은 실행이사들과 활동가들의 사생활이 낱낱이 공개되는 등 인권탄압이 이뤄졌다“며 “유엔 인권이사회에 박근혜 정부의 이런 실상을 알리겠다”고 말했다.
박수지 이지혜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