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린 1305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김복동 할머니(왼쪽)와 마이크 혼다 전 미국 연방 하원의원(오른쪽)이 참석해 나란히 앉아있다.
18일 낮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305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박근혜 정부 청와대의 정대협 여론공작에 대해 진상규명을 해달라고 국무총리실에 건의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1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1월 작성된 “정대협의 실체를 알리라”는 내용이 적힌 ‘비서실장 지시사항 이행 및 대책(안)’ 문건을 공개했다. 12·28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관련 한-일 합의에 대해 정대협이 비판하자 당시 대통령 비서실 주도로 ‘정대협 여론공작’을 주문한 것이다.
이날 조금씩 떨어지는 빗방울에도 통영여고·동인천고 학생들을 비롯해 시민 500여명이 수요시위에 참석해 ‘재팬을 재판하라’, ‘손바닥으로 눈을 가려도 하늘은 가려지지 않는다’ 등 직접 만들어온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한국염 정대협 공동대표는 경과보고에서 “이재정 의원이 박근혜 청와대의 문건을 발표한 후에 누가 어떻게 어떤 과정으로 정대협을 비롯한 시민단체를 음해했는지 진실을 밝히고 개입된 사람을 처벌해달라는 건의문을 13일에 국무총리실에 냈다”고 말했다. 이어 한 대표는 “지난 정권 동안 정대협 관계자들은 ‘종북’, ‘빨갱이’ 등이라 불리며 많은 박해를 받았다며 “지난주 처음으로 정대협을 종북이라고 한 기자에게 명예훼손죄가 인정돼 벌금 100만원이 부과됐다.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대협은 문건 작성 시기의 책임자인 이병기·이원종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하기로 했다.
18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린 1305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학생들이 참석해 직접 만든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날 시위에 참석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1) 할머니는 “박근혜 정부가 역사를 팔아 돈 받아와서 우리가 반대를 했더니 26년동안 할머니들 찾아내서 여기까지 온 민간단체를 뿌리치고 뻔뻔스럽게 굴었다”고 비판했다. 수요시위에 참석한 시민 김효진(42)씨도 “심증은 있었지만 이렇게 물증까지 나오니 분노가 인다”며 “국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어쩔 수 없더라도 이번에 밝혀진 박근혜 정부의 여론공작을 비롯한 국내 사안은 이번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빨리 진상을 밝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2007년 미국 연방 하원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결의안 통과를 주도한 마이크 혼다(76·본명 마이클 마코토 혼다)전 미국 연방 하원 의원도 이날 수요시위에 참석해 “1990년에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용기를 내 자기 경험을 말한 것을 보며 내가 얻은 교훈은 힘 있는 사람에게도 말해야한다는 것”이라며 “(위안부 문제는) 아베 일본 총리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여성과 아이들의 문제라는 걸 이해하길 바라며 왔다”고 말했다.
글·사진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