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회적 참사 특조위)가 17일 ‘라돈 방사성 침대’ 사태에 대한 정부 현안 보고를 받았다. 사회적 참사 특조위는 안전사회 건설이라는 고유의 활동 목적에 따라 이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 개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회적 참사 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회는 이날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라돈 방사성 침대 관련 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현안에 대한 진행 경과와 정부 대책 등을 보고받았다. 회의를 주재한 양순필 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장은 “오늘 회의는 관련 부처 책임자들로부터 현안에 대한 보고를 듣는 자리로 성토하거나 질타하는 자리가 아니다”라며 “현안 점검회의를 계기로 범정부적인 종합 대책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부처 관계자들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이른 시일 안에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배종근 원안위 생활방사선안전과장은 “향후 라돈과 토론(라돈의 동위원소)이 검출된 모나자이트에 대해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며 “생활용품에 모나자이트 사용을 제한하거나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등 다른 정부 부처와 협조를 통해 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와 산업자원부 등은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매트리스와 사업장 실태조사를 비롯한 유통망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