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6일 신인령 국가교육회의 의장이 국가교육회의 3차회의에서 참석 위원들과 함께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대입개편특위) 위원장이 17일 ‘수능-학종 간 비율 조정’과 관련해 “모든 대학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비율을 제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학 신입생 선발 방법에 대한 충분한 공론화가 이뤄지기도 전에, 대입제도 개편(권고)안 마련을 책임지는 김 위원장이 사실상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어서 논란이 인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교육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현장 여론을 수렴하는 ‘국민제안 열린마당’을 진행해보니, 수도권 상위 대학들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학생부종합전형(학종) 비율을 일률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것 같다”며 “국민들에게 이런 내용을 충분히 알린 뒤 ‘수능-학종 비율’을 정하지 않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이 (적정 비율을 찾기 위해) 수도권 상위 대학과 학부모들과 만나 토론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11일 여러 시나리오 형태의 ‘대입개편 시안’을 국가교육회의에 넘기면서 ‘수능-학종 등 선발 방법의 적정 비율’ ‘수시-정시 통합 등 대입 선발 시기’ ‘수능 절대평가 전환 여부’ 등 3가지 핵심 쟁점에 대해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론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대입개편특위는 이 문제를 전담하기 위해 지난 4월 출범한 기구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14일 부산에서 열린 ‘열린마당’에서도 “수시와 정시를 통합하면 수험생들이 수능, 학종, 교과내신 전형을 모두 공부해야 하는 이른바 ‘죽음의 트라이앵글’이 펼쳐질 수 있다”고 밝혀 ‘수시-정시 통합안’을 배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이에 대해 국가교육회의 쪽은 “김 위원장이 ‘열린마당’ 등에서 수렴된 의견을 기자단에 전한 것으로 대입개편특위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며 “공론화 범위는 국가교육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이달말 확정된다”고 해명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