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정책참여단 구성·운영 책임질 기관에
엠브레인-한국사회갈등센터 컨소시엄 선정
6월 중순 학생·학부모·교사 등 100명 첫 토론
엠브레인-한국사회갈등센터 컨소시엄 선정
6월 중순 학생·학부모·교사 등 100명 첫 토론
학생·학부모·교사 등이 직접 참여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신뢰도’를 높일 방법을 찾는 실무 작업이 본격화한다. 시민 의견을 수렴해 마련되는 새 대안은 7월 중순께 공개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22일 “학생부 신뢰도 제고 방안 마련에 참여할 시민정책참여단의 구성과 운영을 책임지는 기관으로 엠브레인-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책참여단 운영 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정해지면서 학생부 신뢰도 제고 방안 마련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우선 엠브레인은 정책참여단을 꾸리는 업무를 맡고,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는 이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담당하도록 업무를 분담했다.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는 지난해 ‘성공적인 공론화’라는 평가를 받았던 신고리 5·6호기 공론조사를 담당했던 기관이다.
앞서 교육부는 대학입시에서 학생부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지적되자, 학생·학부모·교사·교육전문가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개선안을 내놓겠다며 이 문제를 ‘국민참여 정책숙려제 1호 안건’에 올린 바 있다. 현재 학생부는 교육부 지침인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에 따라 교사들이 기록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학교 교육 과정 밖의 활동이 학생부에 기록되고, 이를 바탕으로 대입 당락이 결정되기도 해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뿐더러 사교육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책참여단은 학생(중3~고2), 초·중·고교생 학부모, 교사, 대학관계자 등과 함께 이해관계가 없는 일반 국민 등 5개 그룹에서 각 20명씩 모두 100명으로 구성된다. 정책참여단은 다음달 중순 첫 합숙회의를 시작으로 온라인 토론 등을 거쳐 개선안을 마련하게 된다. 교육부는 1만여명에 이르는 교육관계자 설문조사와 온라인 대국민 의견수렴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정책참여단이 권고안을 내놓으면 이를 전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
최성부 교육부 혁신행정담당관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그동안 교육부 중심으로 이뤄졌던 정책을 국민 눈높이에 맞춰 교육 당사자들에게 돌려주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숙려제의 의미를 최대한 살려 공정성과 객관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지난해 9월 서울 한 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2018학년도 수능 모의평가'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