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ㄱ고등학교 교사 등 90%가 학교장 갑질 등 민원 제기
경기도교육청·안성교육지원청, 한 달 넘게 조사 떠넘기기
해당 교장 “사실과 달라…교육청 조사 마무리된 사안” 해명
경기도교육청·안성교육지원청, 한 달 넘게 조사 떠넘기기
해당 교장 “사실과 달라…교육청 조사 마무리된 사안” 해명
경기도교육청 모습. 다음 로드뷰 갈무리.
학생 차별 대우 정황 드러나기도 학생들을 차별 대우한 정황도 드러났다. 2017년 11월 한 교사가 “학생의 부모가 위독하다. 증빙서류는 나중에 첨부할 테니 학생 결석 처리를 먼저 해달라”라고 요청하자, ㄴ교장은 “당장 진료확인서를 첨부하지 않으면 절대 결재할 수 없다”며 보호자에게 연락해 증빙서류를 팩스로 보내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교사가 “학생이 경황이 없어 연락이 잘 닿지 않는다”고 하자, ㄴ교장은 “성인이랑 다를 바 없고 세상에 위독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겨우 학생과 연락이 닿아 “오후 5시까지 증빙서류를 받을 테니 기다려달라”고 하니 “교장이 한가한 사람이 아니다”라며 진짜 연락을 한 것이 맞는지 담당 교사의 개인 휴대전화까지 열어 문자메시지를 보내달라고 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반면 지역 정치인과 친분이 있는 학부모의 학생 비행은 묵인했다고 한다. 감사요청 자료 등을 보면, 2017년 2학기에 수업 태도가 불량하고 진료확인서를 위조한 행위를 한 학생에 대해 선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담임 교사가 ㄴ교장에게 제시했다. 하지만 ㄴ교장은 교장실에 방문한 해당 학생의 아버지, 그리고 지역 정치인과 대화를 나눈 뒤 선도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지난해 9월20일에는 또 다른 학생이 잦은 무단결석으로 선도위원회에서 퇴학이 의결됐으나 같은 달 27일 ㄴ교장은 퇴학 결정을 반려했다. 그 뒤 ㄴ교장은 이 학생을 출석정지로 처리하라고 지시했다. 이 학교 교사들은 해당 학생이 친구들에게 ‘우리 아빠가 안성에 있는 업체 사장이라 학교에서 봐줬다’고 자랑하고 다녔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5월에는 성폭력 방지를 위한 4시간 의무 교육을 바쁘다는 이유로 보건 교사에게 대리 수강하게 하는 등 부당한 업무지시를 내렸다는 주장도 나왔다. 또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모두 모여있는 상황에서 “담임 교사에 대한 불만사항을 이 자리에서 이야기하라”고 한 뒤 해당 교사를 질책하거나 교사들에게 “어떻게 1급 정교사 자격증을 땄는지 모르겠다” 등의 모욕적인 발언을 했다는 증언도 잇따랐다. 아울러 지난해 10월 지어진 학교 ‘구령대’(운동장에 세워진 단상 형태의 건축물)에 자신의 이름을 새기게 했다거나, 다른 학부모들은 아이를 데려다줄 목적으로 학교 안까지 차를 몰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면서 ㄱ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기 아들은 차로 등교를 시키는 등 부적절한 행위를 여러 차례 해왔다는 주장도 나왔다. _________
감사 의무 떠넘기며 시간만 끈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 하지만 숱한 비위 의혹에도 교육 당국은 한 달이 넘도록 제대로 된 조사를 하지 않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과 안성교육지원청이 민원을 서로에게 떠넘기면서 시간만 끌었기 때문이다. 이 학교 교사들은 지난해 11월29일 경기도교육청에 ‘우리 학교 학교장의 갑질과 부당지시를 고발한다’며 민원을 접수하는 방식으로 감사를 요청했다. 이 학교 교사 등 직원 총 52명 중 90%가 넘는 47명이 민원제기에 동의했다. 이후 경기도교육청은 이 민원을 안성교육지원청으로 넘겼다. 안성교육지원청은 지난달 3일 학교를 방문해 장학지도를 했으나 ‘교육지원청은 고등학교에 대한 감사 권한이 없다’며 민원을 이날 다시 경기도교육청으로 넘겼다. 하지만 경기도교육청은 다음날인 지난달 4일 다시 이 민원을 안성교육지원청으로 이첩했다. 그 뒤 안성교육지원청은 ㄱ고등학교에 대한 감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장학지도 결과를 경기도교육청 쪽에 알리지 않았다. 결국 이 학교 교사들은 지난달 31일 경기도교육청에 다시 민원을 제기해야 했다. 하지만 이 민원 역시 다시 감사 권한이 없는 안성교육지원청으로 이첩됐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경기도교육청이 안성교육지원청의 장학지도 결과를 듣지 못했고, 지난달 31일 해당 학교에서 민원제기 이후 경기도교육청이 다시 안성교육지원청으로 사안 이첩한 사실은 맞다”고 해명했다. 안성교육지원청 관계자도 “도교육청이 감사를 할 사건은 아니고 장학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교육지원청으로 민원을 이송한 사건이라 그에 맞게 처리한 것”이라며 “장학 지도를 마무리하면서 감사가 필요한 건만 따로 정리해서 도교육청에 감사 요청을 하라고 말했다”고 해명했다. 현재 경기도교육청 감사관실에서는 뒤늦게 ㄱ고등학교 비위 의혹 조사를 준비 중이다. ㄱ고등학교 교사들은 이처럼 민원이 돌고 도는 동안 인사 불이익을 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학교의 ㄷ교사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안성교육지원청에서 지난달 3일 장학지도를 나온 이틀 뒤인 5일 교사 전체가 모인 ‘교사 대토론회’ 자리에서 ㄴ교장이 사과를 했다. 하지만 정말 형식적인 사과였다. 그 뒤 인사철이 다가와 업무분장을 하는데 ㄴ교장이 민원을 제기한 교사들의 업무를 마음대로 변경했다. 인사 보복이라고 느낄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ㄷ교사는 “한두 명의 문제 제기가 아니다. 90%가 넘는 구성원들이 문제라고 느껴 민원을 제기한 것이다. ㄴ교장이 학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할 자질이 있는지 경기도교육청에서 빨리 감사를 해 밝혀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ㄴ교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보복성 인사를 한 적 없다. (다른 내용은) 나중에 연락하라”고 말한 뒤 전화를 끊었다. ㄴ교장은 이후 <한겨레>에 보내온 문자메시지를 통해 “(교사들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이미 경기도교육청과 안성교육지원청에서 조사해서 마무리한 내용”이라고 밝혔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