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검찰총장 후보자로 지명된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이 지난 17일 점심 때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8일 열리는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검찰 개혁에 대한 윤 후보자의 입장과 배우자·장모의 재산과 송사 관련 의혹, 측근 가족에 대한 비호 의혹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관심은 윤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정부·여당이 추진하는 검찰 개혁안에 대해 어떤 발언을 내놓느냐에 쏠린다. 그는 5일 국회에 제출한 1410쪽짜리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공직자로서 국회의 권한을 존중하겠다”는 기본 입장을 내놓으면서도 “형사사법시스템은 국민 권익과 직결된 만큼 시행착오가 있어선 안 된다” “제도 개편을 통해 국가 전체적으로 부정부패 대응 능력의 총량이 지금보다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등 다소 여지를 남겼다. 윤 후보자는 2017년 국정감사 때 검경 수사권 조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등에 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선수가 룰을 이야기하는 것은 안 맞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윤 후보자의 아내 김건희 코바나컨텐츠 대표의 60억원대 재산 형성 과정과 장모 최아무개씨의 사기 사건 연루 의혹 등 가족에 대한 검증도 진행될 예정이다. 김 대표는 비상장 주식 투자 의혹 등을 받고 있고, 장모 최씨는 30억원 사기 사건 등 여러 민형사 사건에 연루돼 있다. 윤 후보자는 이와 관련한 서면질의에 “잘 알지 못한다”는 취지의 답변으로 일관했다. 아내가 ‘20억원대 도이치파이낸셜 비상장 주식을 보유하다 2017년 후보자가 서울중앙지검장이 된 뒤 처분’한 데 대해선 “불필요한 오해가 없도록 원금만 돌려받고 처분했다”고 밝혔다. 가족들의 재산과 송사 관련 기록을 제출하라는 요구에 대해서는 “개인 프라이버시”라며 제출을 거부했다. 이날 자유한국당은 김 대표가 최근 기획한 전시회와 관련해, 검찰총장 후보자 지명 전후로 대기업 등의 협찬이 급증했다며 의혹을 제기했지만 윤 후보자 쪽은 “총장 후보 추천일 이전에 협찬이 이뤄졌다”고 반박했다. 윤 후보자의 최측근인 윤대진 법무부 검찰국장의 친형 형사 사건에 개입한 의혹도 검증대에 오른다. 윤 국장의 형인 윤우진 전 용산세무서장은 2012년 사업가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다가 외국으로 도피했고, 8개월 만에 붙잡혔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경찰이 신청한 압수수색 영장과 구속영장을 수차례 기각했고, 결국 윤 전 서장을 불기소 처분했다. 윤 후보자는 윤 전 서장에 대해 “친한 후배 검사의 친형이며, 만난 적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윤 후보자는 “윤 전 서장에게 골프 접대 등을 받은 적이 없고, 변호사를 소개해준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한국당은 윤 후보자가 윤 전 서장에게 대검 출신 이남석 변호사를 소개해주는 등 그를 비호했다며, 당시 사건을 수사한 경찰 2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밖에 윤 후보자는 군 면제 사유가 된 ‘부동시’에 대해선 “부동시로 인해 운전면허를 취득하지 못했고, 안경을 착용하면 어지러워 계단을 오르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답했다.
한국당은 검사 출신 ‘저격수’ 김진태 의원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교체투입한 데 이어 이날 이완영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한 공석에 마찬가지로 검사 출신인 정점식 의원을 사보임하는 등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법사위 한국당 의원들이 패스트트랙 대치 정국과 관련해 고소·고발을 당해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도 청문회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주광덕 한국당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된 윤 전 용산세무서장이 해외도피 하는 등 3명의 증인이 잠적했다”고 주장했다. 김진태 의원은 “후보자 배우자의 대학 관련 자료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라고 주지 않는 깜깜이 청문회다. 자료 제출 거부와 증인 도피에 대해 엄중히 따지겠다”고 밝혔다.
최우리 정유경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