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경기 화성시 남양고에서 중증외상환자를 닥터헬기를 통해 이송하는 모습. 경기도 제공
지난 2017년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 10명 가운데 2명은 적절한 시간 내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다면 살 수 있었을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0일 보건복지부는 2017년 중앙응급의료센터 국가 응급진료정보망에 등록된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 중 1232명을 표본 추출해 분석’한 결과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9.9%로, 2015년 전국 첫 조사 당시 30.5%에 견줘 10.6%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란, 외상으로 인해 숨진 환자 중 적절한 시간 내에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 사망자 비율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15% 안팎이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윤 서울대 교수(의료관리학)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2015년에 견줘 2017년 권역외상센터(365일 24시간 교통사고·추락 등으로 인한 중증외상환자가 병원에 도착하면 즉시 응급수술을 할 수 있는 시설)가 4곳에서 9곳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중증 응급환자 등 응급의료 업무를 위해 지정된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도 9개에서 23개로 확대됐다. 전체 중증외상환자 가운데 권역외상센터나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은 비중이 2015년 19.8%에서 31.9%로 증가하면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중증외상환자들의 ‘골든타임’내 치료를 위해선 갈 길이 아직 멀다. 김윤 교수는 “이론적으로 중증외상환자는 권역외상센터나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70%가량은 엉뚱한 곳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며 “119구급대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정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곳으로 중증외상환자를 데려갈 수 있어야 하고,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적정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권역외상센터나 권역응급의료센터 각각의 규모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서울을 제외한 거의 모든 권역에서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10%포인트가량 낮아졌다. 현재 권역외상센터가 없는 서울권역은 2015년 30.8%에서 30.2%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