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서울특별시의사회에서 열린 젊은의사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승현 대한 의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회장,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김지성 전임의 비상대책위 위원장.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의 집단휴진이 18일째 계속되면서 진료 현장의 공백이 커지자 “병원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는 교수들이 나오고 있다.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여당과 합의에 나섰는데도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자 교수사회의 여론도 조금씩 흔들리는 모양새다.
수도권 지역의 한 대학병원 ㄱ주임교수는 지난 6일 전공의들에게 공개서신을 보내 “9월 7일 복귀가 예상되는데, 병원의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준비해줄 것”을 당부했다. ㄱ교수는 “병원은 의사 뿐 아니라 여러 직종의 인원이 근무하는 곳으로 파업기간 동안 입원과 수술이 50% 정도 감소했는데 이는 직원들의 생활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간호사들의 많은 도움이 있었던 것도 잊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어 “수술과 검사가 지연돼 많은 환자와 가족들이 불편을 겪었는데 의료 정책은 의사 뿐 아니라 사회 여러 주체의 논의와 합의를 통해 결정되는 것”이라며 “(이번 집단행동이) 의사를 제외한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했던 것도 인식해야 하고, (의료인의) 파업은 의료 윤리 측면에서 사전에 심각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집단휴진을 멈추고 7일부터 진료에 복귀할 것으로 알려졌던 전공의들은 이날도 입장을 번복했다. 의대생들 역시 국가고시 거부 운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전날 자정 접수가 종료된 의사 국가시험에는 14%만이 접수했다.
이들이 입장을 번복한 것을 두고 한 대학병원의 ㄴ교수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응급의학과 소속인 ㄴ교수는 이날 <한겨레>에 “국시에 응시하지 않고 유급투쟁이 가장 정부에게 타격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의대생들이 있는데 잘못된 생각으로, 교수들이 더 이상 옹호해주면 안된다”며 “이미 (국시 합격 후 임하게 되는) 인턴 업무 중 상당부분이 임상병리사에게 넘어간 상태고 진료 보조인력인 피에이 간호사(PA·Physician Assistant)를 합법화 시킬 여지만 많아 질 것으로 보인다. 1년 늦게 전공의로 들어가면 선배가 없어서 결국 힘들어지는 것은 자신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4일 사립대학교의료원협의회, 사립대학교병원협회, 국립대학교병원협회,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 5개 단체도 성명을 내어 “전공의와 전임의는 진료와 수련 현장으로 속히 복귀해주시고, 학생들은 강의실로 돌아와 주시길 간곡히 부탁한다. 본과 4학년 학생들은 한 사람도 빠지지 말고 의사 국가고시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