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다음달 1일부터 치안정보와 인구정보 등을 분석해 지역별 범죄위험도를 예측하고 순찰 인원·경로를 결정하는 범죄예방시스템을 전국에서 운영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경찰청이 전면 실시하는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범죄예측 시스템)은 치안정보와 공공정보를 통합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지역별 범죄위험도와 범죄발생 건수를 예측하는 것을 뼈대로 한다. 치안정보에는 112신고건 수, 경찰관 수, 유흥시설 수 등이 포함되고, 공공정보에는 기상, 요일, 면적, 경제활동인구, 실업률, 고용률, 건물노후도, 공시지가, 학교, 공원, 소상공인 업소 수, 교통사고 건수 등 지역의 특성과 인구정보가 포함된다.
범죄예측 시스템은 관할지역을 일정구역(1000m×100m)과 시간대(2시간)로 나눠 범죄위험도 등급과 범죄예측 건수를 표시해 범죄 위험이 높은 지역을 예측해준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경찰관의 순찰이 필요한 경로를 분석해 순찰차 내비게이션에 전송함으로써 현장경찰의 순찰을 돕는다. 또한 지역의 방범시설 현항과 112 신고 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경찰관 배치에 관련된 정보도 제공한다.
경찰은 지난 3월 한달 동안 울산⋅경기북부⋅충남 등 3개 시⋅도 경찰청에서 범죄예측 시스템을 시범운영한 결과 효과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범죄예측 건수와 실제 발생 건수를 비교한 결과 83.1%의 정확도를 보였고, 시범운영 지역의 5대 범죄 발생 건수가 12.5% 감소해 전국 5대범죄 발생 건수 감소폭(10.6%) 보다 컸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청은 범죄예측 시스템을 이용해 효율적인 치안활동을 지원해 전국적으로 고르게 안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최적화된 범죄예방활동을 위해 범죄예측 시스템을 비롯한 치안 시스템 개발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