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여성 결혼비자 신청 지난해 4배
업체들, 베트남 등 보다 단속 덜해 선호해
인신매매혼 성격 띨 가능성 높아 우려 일어
업체들, 베트남 등 보다 단속 덜해 선호해
인신매매혼 성격 띨 가능성 높아 우려 일어
‘필리핀 신부’ ‘베트남 신부’에 이어 ‘캄보디아 신부’가 급격히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매매혼 성격에 따른 부작용도 한결 걱정된다.
한국염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는 <한겨레>의 물음에 “캄보디아에 있는 한국계 국제결혼 중개업체가 지난해 9월 이전만 해도 12개에 불과했는데 올해 126개로 10배나 늘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지난 9월 캄보디아에서 현지 조사활동을 했다. 캄보디아 주재 한국 대사관 쪽은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배우자 자격으로 비자를 신청해온 캄보디아 여성이 지난해 364명이었다가 올해 급증해 지금까지 접수된 것만 1300여명”이라고 밝혔다. 최근 국내에는 ‘캄보디아 전문’이라는 문구를 내건 국제결혼 중개 사이트도 속속 생기고 있다.
최근의 변화는 베트남에서 국제결혼 중개업 단속이 강화되자, 중개업자들이 캄보디아로 눈을 돌린 결과이다. 지난해 12월부터 ‘한국-캄보디아 국제결혼가족모임’ 카페를 운영 중인 박아무개씨는 “베트남 결혼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중개업체들이 신부를 구하는 한국 남성들의 관심을 캄보디아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추세는 ‘필리핀 신부’ ‘베트남 신부’ 이상의 심각한 걱정을 낳고 있다. 한국염 대표는 “캄보디아는 오랜 내전으로 베트남, 필리핀보다도 가난하다. 어린이 성매매가 문제가 될 정도라 국제결혼 단속에는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개업체에서 한국의 현실을 과장하며 가난한 캄보디아 여성들을 대거 모집하고 있어, 인신매매적 국제결혼이 증가하지 않을까 염려된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주재 한국대사관도 이런 걱정 때문에 배우자 자격으로 비자신청이 들어올 때마다 인신매매혼 성격 여부를 인터뷰에서 집중적으로 캐묻는다.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지난 8월 우리나라의 인신매매적 국제결혼 증가에 우려를 표시하며, 한국 정부에 결혼중개업자의 활동을 규제하는 법률을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유엔 국제조직범죄협약의 인신매매방지의정서’ 비준도 권고했다.
생활고로 인해 캄보디아 여성들의 교육수준이 낮은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캄보디아의 문맹률은 65%에 이른다. 문맹일 경우 결혼중개업체와의 계약때 허위정보 등으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고, 한국에서 모국어로 제공되는 지원마저 받기 어려워진다.
중개업체 난립 와중에 허위정보 제공 가능성도 크다. 한 ‘캄보디아 전문 결혼중개업체’는 홈페이지에 아예 “일부 결혼정보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학력 캄보디아 여성회원들의 경우 허위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경고문’을 올리기도 했다. 고학력 여성을 찾는 남성들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일부 업체에서 허위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는 얘기다.
캄보디아 이주여성을 위한 통역 지원도 아직 없다. 통역·상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주여성긴급전화(1577-1366)의 경우 베트남어, 몽골어, 러시아어 등 6개 국어를 할 수 있는 상담자가 상근하지만, 캄보디아어 상담자는 없다. 강성혜 소장은 “캄보디아에서 입국하는 여성이 요즘 늘면서 상담도 한달에 1~2건씩 생긴다”며 “이런 소수언어의 경우 개인 자원봉사나 대사관 통역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앞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는 2일 서울 숭인동 이주여성긴급전화 1366센터에서 캄보디아 등의 국제결혼중개업체 난립에 대한 보고회를 갖고, 인신매매적 국제결혼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edge@hani.co.kr
한편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는 2일 서울 숭인동 이주여성긴급전화 1366센터에서 캄보디아 등의 국제결혼중개업체 난립에 대한 보고회를 갖고, 인신매매적 국제결혼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