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양에서 2박3일 토론회
연대 확인·공동결의문 채택키로
연대 확인·공동결의문 채택키로
남과 북의 여성 단체가 중국에서 만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도발에 맞설 공조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28일부터 30일까지 중국 선양에서 남·북·국외 대표단이 모여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해외여성토론회’를 연다고 27일 밝혔다. 정대협은 “일본 정부가 일본군 성노예 범죄의 국가 책임을 부인하고 공식 사죄와 법적 책임을 이행하지 않은 채 오히려 과거 식민지 침략 역사를 왜곡하고 재일동포 탄압과 차별 정책을 강화하며 노골적인 군국주의 부활 시도를 계속하고 있는 데 대해 남과 북의 연대 의지를 확인하고 공동 노력을 모색하고자 마련했다”고 행사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 토론회에 남쪽에서는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를 단장으로 한국여성단체연합·전국여성연대 등 10여개 여성단체의 대표단 24명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참석한다. 북쪽에서는 김명숙 조선민주녀성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조선일본군성노예 및 강제련행피해자문제대책위원회, 민족화해협의회 여성부, 조선카톨릭교협회 여성회 등 여성단체 대표 1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외에서는 안병옥 6·15일본지역위원회 명예의장을 단장으로 일본·중국 등에서 10명의 대표단이 참가한다.
윤미향 대표는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과 관련해선 남북 사이에 이견이 없어 이번 토론회가 성사될 수 있었다. 특히 토론회에 참석할 길원옥 할머니는 평양이 고향이지만 지금은 남한에 살고 계셔 남북이산의 문제까지 껴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인물이다”라고 말했다.
이들은 토론회에서 일제식민지 범죄, 일본군성노예 범죄, 최근 일본의 군국주의 동향을 토론한 뒤 공동결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한편, 정대협은 이날 통일부가 남쪽 여성대표단 가운데 손미희 전국여성연대 대표만 남북관계 상황 등을 이유로 북한주민접촉 승인을 내주지 않은 점과 관련해 “통일부에 심히 유감을 표명하고,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