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 목표…외국어판도 펴내
해법 모색 기초자료로 활용키로
해법 모색 기초자료로 활용키로
4일 고노담화 21주년을 맞아, 정부가 직접 일본군 위안부 백서 편찬에 나선다.
여성가족부는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국교정상 50주년이 되는 내년 12월께 발간을 목표로 국민대 일본학연구소·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백서를 발간할 계획이라고 3일 발표했다.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와 이신철 성균관대 연구교수 등 전문가 10명이 백서를 집필하고, 여성가족부 차관을 단장으로 외교부·국무총리실·동북아역사재단 등에서 19명의 위원들이 자문단으로 참여한다.
여성가족부는 최근 일본 정부의 고노담화 검증 결과 공개로 논란이 된 ‘위안부’ 문제의 본질과 쟁점에 대한 한국 쪽 논리와 증거자료를 제시하고 앞으로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백서는 크게 역사·정책·국제법 분야로 나눠 서술될 예정이다. 역사 분야는 일본군 위안소 제도를 일본제국의 전쟁, 식민지 지배 정책이라는 큰 틀 속에서 조망하고 위안부 피해를 실증적으로 정리한다. 정책 분야는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 및 일본의 입장과 국제 동향, 시민사회 운동 그리고 역사 교육을 둘러싼 문제 등을 담게 된다. 국제법 분야는 일제 강점기를 앞뒤로 위안부 관련 법령과 국제협정 등을 분석해 위안부 제도가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범죄행위임을 입증할 방침이다. 여성가족부는 백서를 발간한 뒤 이를 영어·중국어·일본어 등으로도 번역해 국제사회에 보급할 계획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