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급증해 올해 544곳 뽑았지만
인증 뒤 3년간 사후관리 전혀 없어
인증 뒤 3년간 사후관리 전혀 없어
17일 여성가족부(여가부)는 일·가정 양립 환경을 독려하는 취지로 마련된 ‘가족친화 인증제도’에 새로 선정된 기업이 올해 544개로 지난해보다 233개 늘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양적 확대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사후 관리를 개선하고 인증제의 권위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2008년부터 여가부가 인증을 시작한 가족친화 기업은 첫해 14개에서 해마다 크게 늘어 2012년 116개, 2013년 311개가 선정됐다. 여가부는 인증 조사 결과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대기업·공공기관 등은 70점 이상, 중소기업은 60점 이상이면 인증마크를 주고 있다. 올해 인증 신청한 중소기업 가운데 85%가 인증을 받았다. 국회입법조사처의 조주은 입법조사관은 “중소기업엔 심사비를 면제해주고 문턱도 그리 높지 않아 오히려 제도의 권위가 낮아진 측면이 있다. 기업 인증의 유효기간인 3년 동안 제대로 되고 있는지 사후 관리가 없는 것도 문제”라고 짚었다. 김숙자 여가부 가족정책과장은 “잘하는 기업을 본받을 수 있도록 포럼을 만들고 컨설팅으로 사후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