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밥심에 살어리랏다

등록 2011-06-02 14:05

 벽엔 금이 갔다. 벽 타고 흐르는 얼룩은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킨 흔적이다.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에 자리잡은 밥집 ‘마방집’의 부엌은 온통 시간을 버텨낸 자국들투성이다. 주인공은 무쇠로 만든 가마솥이다. 3~4명이 함께 들기도 힘든 가마솥은 이곳을 찾은 이들에게 따끈하고 인정 많은 밥을 선사한다. ‘마방집’은 1920년대 주막으로 문을 열었다. 수북한 고봉밥과 걸쭉한 막걸리 한 사발이 찾는 이들을 위로했다. 가마솥은 그때와 변함없이 뽀얀 김을 뿜어내며 손님을 기다린다. 주인 이두종씨가 3대째 한자리를 지키면서 가마솥을 반짝반짝 닦아왔다. 밥에는 90년을 넘나드는 하얀 숨결이 담겨 있다.
벽엔 금이 갔다. 벽 타고 흐르는 얼룩은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킨 흔적이다.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에 자리잡은 밥집 ‘마방집’의 부엌은 온통 시간을 버텨낸 자국들투성이다. 주인공은 무쇠로 만든 가마솥이다. 3~4명이 함께 들기도 힘든 가마솥은 이곳을 찾은 이들에게 따끈하고 인정 많은 밥을 선사한다. ‘마방집’은 1920년대 주막으로 문을 열었다. 수북한 고봉밥과 걸쭉한 막걸리 한 사발이 찾는 이들을 위로했다. 가마솥은 그때와 변함없이 뽀얀 김을 뿜어내며 손님을 기다린다. 주인 이두종씨가 3대째 한자리를 지키면서 가마솥을 반짝반짝 닦아왔다. 밥에는 90년을 넘나드는 하얀 숨결이 담겨 있다.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밥벌이의 지겨움 버텨낼 밥맛의 따스한 추억, 삶의 꿋꿋한 힘

이랴! 이랴~!

1987년 5월의 한낮, 눈이 예뻤던 누렁소를 달래며 혼내며 외할아버지는 다랑논을 갈고 또 갈았다. 6월, 뒤엎은 논에 물을 대자 품앗이 온 마을 사람들이 한 줄로 늘어서 허리를 구부렸다. 작은 손으로 못줄을 잡아보겠다고 보챘지만, 못줄 잡기도 기술이라며 어른들은 손사래쳤다. 7월, 외할아버지는 잠자기 전 티브이에서, 아침 이부자리 정리하며 라디오에서 내일과 오늘의 날씨를 꼼꼼하게 챙겼다. 따가운 여름해 뜨기 전 외할아버지는 자전거 타고 밤새 논은 무사한지 둘러보러 나섰다.

8월이 되자 외할아버지 이마의 주름은 더욱 짙어졌다. 태풍에 쓰러진 볏단을 엮어 세우느라 허리를 펴지 못했다. 9월의 황금 들판은 다랑논마다 펼쳐졌다. 무거워진 쌀알에 벼 허리는 부러질 듯 위태로웠고, 10월 들어 마을 사람들은 또다시 허리를 굽혔다. 묵묵히 벼를 베던 외할아버지의 입가엔 짧지만 깊은 미소가 간간이 스쳤다. 한해 여름을 살아낸 벼는 갓 지은 가마솥밥으로, 한가위 고향을 찾은 자식들에게 차려졌다. 자식들은 밥심으로 몸과 마음의 허기를 채웠고, 그렇게 다시 기운을 낼 수 있었다.

이제 농부들은 사라져 간다. 쌀 소비도 줄어들기 시작한 지 오래다. 고봉밥 없어도 먹을거리가 지천이다. 쌀과 밥이 선 자리는 좁아져 간다. 아침은 거르고 점심은 패스트푸드, 저녁은 술과 고기…. 그렇게 사람들은 밥 없이 병들어가는가.

밥이 없어질 리 없다. 밥은 또다른 변신을 꿈꾼다. 흰옷 대신 원색 찬란한 드레스로 갈아입고, 가마솥 벗어나 최첨단 전기압력밥솥으로 보금자리를 옮겼다. 밥맛 떨어지는 시절이 오고 또 와도, 그렇게 밥의 기억은 지워질 수 없다. 한국인의 몸속 깊이 뿌리박은 밥의 유전자는 쉽사리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모락모락 김 오르는 갓 지은 밥의 따스함으로 우리는 밥벌이의 지겨움을 버텨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밥은 우리 삶의 원동력이다. 밥은 삶이다.

글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30FB>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