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엔 금이 갔다. 벽 타고 흐르는 얼룩은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킨 흔적이다.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에 자리잡은 밥집 ‘마방집’의 부엌은 온통 시간을 버텨낸 자국들투성이다. 주인공은 무쇠로 만든 가마솥이다. 3~4명이 함께 들기도 힘든 가마솥은 이곳을 찾은 이들에게 따끈하고 인정 많은 밥을 선사한다. ‘마방집’은 1920년대 주막으로 문을 열었다. 수북한 고봉밥과 걸쭉한 막걸리 한 사발이 찾는 이들을 위로했다. 가마솥은 그때와 변함없이 뽀얀 김을 뿜어내며 손님을 기다린다. 주인 이두종씨가 3대째 한자리를 지키면서 가마솥을 반짝반짝 닦아왔다. 밥에는 90년을 넘나드는 하얀 숨결이 담겨 있다.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밥벌이의 지겨움 버텨낼 밥맛의 따스한 추억, 삶의 꿋꿋한 힘
이랴! 이랴~!
1987년 5월의 한낮, 눈이 예뻤던 누렁소를 달래며 혼내며 외할아버지는 다랑논을 갈고 또 갈았다. 6월, 뒤엎은 논에 물을 대자 품앗이 온 마을 사람들이 한 줄로 늘어서 허리를 구부렸다. 작은 손으로 못줄을 잡아보겠다고 보챘지만, 못줄 잡기도 기술이라며 어른들은 손사래쳤다. 7월, 외할아버지는 잠자기 전 티브이에서, 아침 이부자리 정리하며 라디오에서 내일과 오늘의 날씨를 꼼꼼하게 챙겼다. 따가운 여름해 뜨기 전 외할아버지는 자전거 타고 밤새 논은 무사한지 둘러보러 나섰다.
8월이 되자 외할아버지 이마의 주름은 더욱 짙어졌다. 태풍에 쓰러진 볏단을 엮어 세우느라 허리를 펴지 못했다. 9월의 황금 들판은 다랑논마다 펼쳐졌다. 무거워진 쌀알에 벼 허리는 부러질 듯 위태로웠고, 10월 들어 마을 사람들은 또다시 허리를 굽혔다. 묵묵히 벼를 베던 외할아버지의 입가엔 짧지만 깊은 미소가 간간이 스쳤다. 한해 여름을 살아낸 벼는 갓 지은 가마솥밥으로, 한가위 고향을 찾은 자식들에게 차려졌다. 자식들은 밥심으로 몸과 마음의 허기를 채웠고, 그렇게 다시 기운을 낼 수 있었다.
이제 농부들은 사라져 간다. 쌀 소비도 줄어들기 시작한 지 오래다. 고봉밥 없어도 먹을거리가 지천이다. 쌀과 밥이 선 자리는 좁아져 간다. 아침은 거르고 점심은 패스트푸드, 저녁은 술과 고기…. 그렇게 사람들은 밥 없이 병들어가는가.
밥이 없어질 리 없다. 밥은 또다른 변신을 꿈꾼다. 흰옷 대신 원색 찬란한 드레스로 갈아입고, 가마솥 벗어나 최첨단 전기압력밥솥으로 보금자리를 옮겼다. 밥맛 떨어지는 시절이 오고 또 와도, 그렇게 밥의 기억은 지워질 수 없다. 한국인의 몸속 깊이 뿌리박은 밥의 유전자는 쉽사리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모락모락 김 오르는 갓 지은 밥의 따스함으로 우리는 밥벌이의 지겨움을 버텨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밥은 우리 삶의 원동력이다. 밥은 삶이다.
글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30FB>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