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엉겁결에 출산파업

등록 2012-10-31 18:42수정 2012-10-31 20:00

이대리 제공
이대리 제공
[매거진 esc] 이대리의 직장생태보고서
결혼 2년차 쏟아지는 ‘좋은 소식’ 문의에 대처하는 이 대리의 자세
결혼 2년차 이 대리는 “좋은 소식 없냐?”는 질문에 익숙해졌다. 질문에는 안부의 의미를 넘어 일종의 채근과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약간의 의심이 조물조물 버무려져 있다.

이 대리와 아내는 대기업 집단으로 분류되는 곳에서 맞벌이를 한다. 그들은 부모의 지원은 받지 않고 각자 모은 얼마간의 돈을 보태 결혼 준비를 했다. 서울의 방 2개짜리 역세권 지상층 다세대주택 전세를 얻기 위해 은행 대출을 받은 그들에게 지상과제는 ‘빚 빨리 갚기’다. 결혼 전 갖고 있던 차도 팔아버리고 계획대로 빚을 갚아가며 즐거운 신혼생활을 이어가고 있지만 임신과 출산을 당장 실천에 옮긴다고 가정하면 현실은 암담해진다.

외벌이만으로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을 웃돌기 때문에 공공주택 곁에 얼씬거릴 자격도 없고, 출산 후 복귀를 반기지 않는 아내의 직장도 마음에 걸린다. 둘 다 직장생활을 계속한다고 가정했을 때 한동안 아이를 떠맡게 될 부모님이나 장인, 장모님은 ‘전생에 업보를 콤보로 짊어지신 걸까?’라는 생각도 든다.

잽싸게 ‘좋은 소식’을 전하지 못하는 이유도 알고 있다. 왜 하필 비싼 역세권에 집을 얻었는지, 일주일에 한두번 값비싼 에일(ale)맥주를 사다 마시는 취미를 버리지 못하는지, 남들 놀러 다닐 때 눈 질끈 감고 참지 못하는지 따위의 소소하고 일견 사치스러워 보이는 이유들 말이다. 그 돈 아끼면 ‘좋은 소식’을 향한 숨통은 더 빨리 틜 수 있다.

경기도권으로 눈을 돌려 집을 구하고 에일맥주는 쌉쌀한 ‘소맥’으로 대체하며 여름 바캉스를 한강 시민공원 수영장으로 대체하는 등 각고의(?) 희생을 실천한다면 ‘임신과 출산의 꿈’은 좀더 현실성 있게 다가온다. 하지만 ‘왜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에 대한 답은 아직까지 명쾌하지 않다. “아예 애 가질 생각이 없지 않다면 고생스럽더라도 일찍 가져라”라는 ‘선행학습형’ 조언에서부터 “애가 대학 가서 군대 갈 때쯤 네 자리를 회사에서 보전해줄 수 있을까?”라는 ‘장학퀴즈형’ 조언에 이르기까지 훈수는 홍수를 이루지만 말이다.

무엇보다 출산율 저하와 세수 감소를 연결지어 걱정하는 국가의 태도는 그들의 머리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언론보도를 통해 조세정의를 무자비하게 짓밟는 사례들을 접하며 ‘유리지갑’ 한 쌍은 터지는 복장을 부여잡기 바쁜데, 태어날 아이가 ‘유리지갑 2.0’이 된다는 상상은 몸서리쳐진다.

돌이켜보면 우리는 “좋은 소식 없냐?”는 유의 질문에 꾸준히 답해오며 성장해왔다. “반에서 몇 등 하고 있니?” “대학은 어딜 들어갔니?” “4학년인데 취업은?” “사귀는 사람은 있니?” “국수 언제 먹여줄 거야?”와 같은 다양한 질문에 서운치 않은 대답을 해왔기에 알만한 직장에서 밥벌이를 하고 있는 것이리라.

이 대리 부부는 “행복하기 위해 결혼했다”는 간단하면서도 분명한 목표지향점을 갖고 있다. 아이를 좋아하지만 아이가 없는 지금도 행복하다. 만약 영영 자식 없이 살아도 별로 불행해질 것 같지 않다. 그런데 당장 아이를 갖는다면 몇 가지 ‘행복 위해요소’를 감수해야 한다.

우리는 결연한 강철대오로 출산파업에 임하지 않았다. 어쩌다 보니 엉겁결에 출산파업의 현장에 떠밀려왔을 뿐이다. 소소한 삶의 행복만 지켜진다면 언제든지 기분 좋게 생산현장으로 돌아갈 수 있다.

H기업 이대리

<한겨레 인기기사>

전두환의 가족복수극 “장인 땅 해먹은 놈 형사 시켜 잡아서…”
박근혜 “100억 더 들어”에 “투표 없애면…”
악마가 시켰다?…어머니 살해한 아들 검거
김기덕 대종상 중도퇴장…‘광해’ 독식 불편했나?
애플도 독도 ‘다케시마’ 병기
“김경준, 내곡동 특검팀에 출석하고 싶어해”
[화보] 20키로 모래주머니 쯤이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