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할머니의 담북장

등록 2013-02-06 18:08

[매거진 esc] 독자사연 맛 선물
우리 할머니는 3년 전, 당신의 92번째 생일상을 받으시고 4일 뒤에 하늘로 가셨다. 요즘은 ‘9988234’라고 건배를 한다고 했던가! ‘99살까지 88하게 살다가 2~3일 앓다가 죽자’라는 의미란다. 할머니께서는 99살까지는 계시지 못하셨지만 92살까지는 ‘88’하게 사시다가 정말 딱 4일만 누워 계시다 돌아가셨다. 그 할머니에 대한 추억이다.

나를 비롯한 손주들은 초등학생 때까지 의무가 있었다. 방학 동안 할머니가 살고 계신 시골에 가 있는 것이다. 얼추 5~6명의 손주들이 한달 정도 할아버지와 할머니 품에서 ‘자란다’. 여름이면 물 좋은 냇가에서 멱 감기, 겨울이면 얼음지치기만으로도 하루해가 다 간다. 해가 짧은 겨울엔 한참을 놀다가 굴뚝에 연기가 올라가면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동네 아이들은 집으로 돌아간다. 도시에서 온 우리들도 발길을 돌린다. 집에 가면 할아버지는 손주들의 잠자리를 위해 아궁이에 불을 지피고 계셨고, 할머니는 가마솥에 밥을 짓고 계셨다. 장작이 타고 남은 아궁이의 잔불에 할머니가 보글보글 끓이던 것이 있었으니, 바로 할머니의 ‘담북장’이다. 할머니는 큼큼한 냄새가 나는 것을 담요까지 덮어가며 고이고이 모셨고, 몇 날 밤을 우리와 함께 잔 그 녀석은 어느새 밥상 위에서 우리의 속을 채워주었다. 할머니는 밤이면 고구마를 깎아주셨고, 쌀, 검은콩, 땅콩, 검은깨, 참깨, 들깨 등으로 직접 강정을 만드셨다. 그때 내 할머니는 못하는 게 없는 분이셨다. 어른이 되어 할머니가 그때 끓여주시던 ‘담북장’이 바로 ‘청국장’이었다는 것을 알았다. 시골에서 먹으면 구수한 그 맛이 입에 감기는데, 도시의 아파트에서 끓여 먹으면 아무리 멋진 뚝배기에 끓여도 그 맛이 안 난다. 그저 고약한 냄새의 음식일 뿐이다. 게다가 남편도 아이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아직도 그때를 함께 보낸 작은오빠는 ‘담북장=청국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할머니께서 끓여주신 담북장은 청국장 맛이 아니라는 것이다. 마치 어른들이 추억 서린 음식을 먹으며 ‘예전에 먹던 그 맛이 아니야’ 하는 마음이지 싶다. 지금이야 청국장을 냄새 불구하고 건강에 좋다고 많이들 찾지만 내 어린 시절 시골에서 먹던 청국장은 겨울이면 으레 먹는 할머니의 제철 음식이었다.

이선영/부산시 부산진구 연지동

※끼니에 ‘소다북어국’이란 제목으로 글 올리신 독자께서는 문의 메일로 연락처를 보내주세요.

응모 방법 ‘맛 선물’ 사연은 esc 블로그(blog.hani.co.kr/hesc)의 게시판 또는 끼니(kkini.hani.co.kr)의 ‘커뮤니티’에 200자 원고지 5장 안팎으로 올려주세요. 문의 메일에 연락처와 성함을 남겨주세요.

상품 로헤 5종 세트(냄비 3종, 프라이팬 2종)

문의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