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도전! 사슴벌레 키우기

등록 2013-02-20 18:43수정 2013-02-20 18:44

눈물이의 사슴벌레숍 제공
눈물이의 사슴벌레숍 제공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곤충은 지구상의 동물 가운데 80%를 차지한다. 4억년 전 처음 나타나 지금처럼 100만종에 이른 것은 환경에 그만큼 잘 적응했기 때문이다. 작은 동물의 먹이가 되면서 자연계의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며 동물의 배설물이나 죽은 동식물을 분해해 자연으로 돌아가게 하는 구실도 한다. 곤충을 길러보면 곤충의 한살이에 담긴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쉽게 구할 수 있고 키우기 쉬운 사슴벌레(사진)를 키워보자.

참나무 발효톱밥으로 만든 매트, 보습 방충시트, 놀이나무, 먹이접시를 갖춘 사육케이스가 필요하다. 여기에 성충 암수 두마리를 넣으면 완료. 곤충숍에서 1만5000원 안팎이면 갖출 수 있다. 먹이로 젤리를 주는데, 1000원이면 20개를 살 수 있다. 젤리는 성충 한마리가 3~5일 정도 먹는다. 케이스는 직사광선을 피하여 22~30도를 유지하는 게 좋다.

4월이면 짝짓기를 하는데, 참나무나 밤나무 등 산란나무를 넣고 매트를 채워준다. 나무가 마르지 않도록 수분을 유지해주면 구멍을 파고 알을 낳는다. 한두 달이 지나면 산란나무를 꺼내어 쪼개 본다. 애벌레가 다칠 염려가 있으니 나뭇결을 따라 조심스럽게 찾아간다. 애벌레는 사육병에 균사를 섞은 톱밥을 꾹꾹 눌러 채운 뒤 한마리씩 넣는다. 균사가 더이상 자라지 않으면 먹을 것이 떨어진 표시이므로 병을 갈아준다.

채집은 4~9월이 적기. 참나무 숲에서 썩은 둥치를 쪼개면 성충과 애벌레를 동시에 발견하게 된다. 손도끼와 삽은 필수품. 등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숲 가까운 공터에 밝은 수은등을 켜놓으면 사슴벌레를 대량으로 포집할 수도 있다. 숲 근처 가로등 아래를 살피면 성충을 발견하는 수가 많다.

냉동건조시킨 표본은 물에 담가 다리를 펴 핀으로 고정시켜 말리는 전족과정을 거쳐 다시 표본상자에 고정시킨다. 이때 이름과 채집 일시와 장소를 명기한 라벨을 붙인다. 요즘은 표본 외에 사진도 표본과 같은 가치를 인정하므로 사진을 찍고 놔주기도 한다.

임종업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CIA 이력’ 김종훈 “미국은 나의 진정한 조국” 발언 논란
한화갑 “안철수, 정치적 성공하려면 신당 만들어야”
“헤어지자”고 했다고…여자친구 아버지 살해한 고교생
무라카미 하루키, 4월에 새 장편 내놓는다
34년째 꺼지지 않는 ‘기적의 등불’, 진실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