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마법의 대화기술도 한걸음부터

등록 2014-02-19 20:10수정 2014-02-20 14:33

[매거진 esc]
전문가들이 말하는 ‘마법의 대화 기술’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시간과 부지런함이 관건. 아름다운 우리말을 좋은 발음으로 했을 때 느끼는 기쁨도 크다.

■ 퉁명스러운 말투 음절에 간격이 없고, 직선적으로 어미를 툭툭 던지고, 빠르게 말할수록 퉁명스럽게 들린다. 저녁이나 밤 시간대 라디오 디제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차분하고 따뜻하며 부드러운 목소리와 어투를 가진 디제이를 정해서 매일 주의 깊게 듣고 따라 해본다.

■ 웅얼거리는 말투 입, 특히 아래턱을 크게 벌리지 않고 대강대강 발음할 때다. 텔레비전이나 인터넷에서 음을 소거해 아나운서들의 입 모양을 관찰하면 부지런히 입을 놀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굳이 복식호흡이 아니라 발음만 명료하게 해도 한결 듣기 편한 말이 된다. 혀, 입술, 얼굴근육, 턱 등 조음기관을 풀고 거울로 입 모양을 보면서 원고를 한 음절씩 큰 소리로 연습한다.

■ 치아 교정을 할 때 치아교정기를 오랜 시간 사용하면 자음을 발음할 때 문제가 생길 수가 있다. 치조음 ‘ㄷ’ ‘ㅌ’ ‘ㄸ’ ‘ㅅ’ ‘ㅆ’ ‘ㄴ’ ‘ㄹ’과 경구개음 ‘ㅈ’ ‘ㅊ’ ‘ㅉ’, 연구개음 ‘ㄱ’ ‘ㅋ’ ‘ㄲ’ ‘ㅇ’이 혀의 위치와 관계된 발음들이다. 혀의 위치를 제대로 확인하고 여러 번 발음해본다.

■ 토론에 자신감이 없을 때 본인이 내용을 알고 있어야 말도 잘할 수 있다. 어휘를 풍부하게 익히고 사유의 폭을 넓히는 데는 신문 사설이나 칼럼을 읽는 것만큼 좋은 것도 없다. 입을 크게 열고 또박또박 한 단어씩 정성 들여 읽는다.

■ 아이 같고 힘없는 목소리 목에만 힘주는 발성이나 콧소리 때문에 앵앵거리는 목소리가 날 수 있다. 어미를 지나치게 올리면 아이 같은 어투가 된다. 공명을 풍부하게 실어주고 목에 힘을 빼면 울림이 풍부한 성숙한 목소리를 만들 수 있다. 말끝을 둥글고 부드럽게 내리는 훈련도 효과적이다. 작은 소리는 전방 목표 지점을 정해 멀리 소리를 닿게 한다는 느낌으로 공기를 많이 내보내며 구강과 비강에서 충분히 울리는 소리가 나도록 발성한다.

■ 대화가 어색할 때 허겁지겁 아무 얘기나 하다 보면 대화 내용이 산으로 올라가거나 무례를 범할 수도 있다. 당황한 나머지 손해 볼 말을 먼저 해버릴 가능성도 있다. 남이 제3자에 대한 흉을 볼 때도 동의하기 어렵다면 차라리 입을 다무는 편이 낫다. 침묵도 좋은 대화법 중 하나다. 정리 이유진 기자

참고문헌 <여자는 목소리로 90% 바뀐다>(우지은·위즈덤 하우스) <혼자 공부해서 아나운서 되기>(정용실·나무생각) <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샘 혼·갈매나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