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배둘레햄’ 아저씨 단골 수선집 확보하세요

등록 2014-09-24 19:50수정 2014-09-25 10:28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 플러스 사이즈 옷 고르는 법
남성들의 옷 고민은 ‘배’ 때문인 경우가 많다. 기성복에 어떻게든 몸을 맞추려고 하다 보면 옷 입는 게 고역이 된다. ‘옷은 몸의 외곽선을 따라 가려주는 것’이란 생각으로 현재의 몸에 잘 맞는 옷을 사자. 수선이나 맞춤을 잘 활용하는 것이 ‘옷 잘 입는 남자’로 가는 지름길이다.

바지, 들어간다고 맞는 게 아니다.

배 아래 어디쯤엔가까지만 들어간다면 맞는 바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벨트 위로 불룩 나온 배를 두고 스타일을 살리기는 어렵다. 배가 몸에서 가장 나온 부분이라면, 배 둘레에 바지 치수를 맞춰야 한다. 한데 배에 바지를 맞추면 바지통과 길이가 커지고 길어질 수밖에 없다. 기성복이라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고 과감하게 수선하자. 허리를 늘이고 통을 줄이면 바지를 바지답게 입을 수 있다. 바지 길이도 마찬가지. 원래 디자인으로는 무릎이 있을 자리인데 그곳이 정강이쯤에 있다면 핏이 살 수 없다. 단골 수선집을 확보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셔츠, 한 벌쯤은 맞춤으로

입을 옷이 없다고 가장 한탄하게 되는 때가 결혼식 등 공식적인 행사에 참석할 때다. 쓸 만한 기존 셔츠 한두개쯤을 내 몸매에 맞게 갖고 있는 일은 남녀 모두에게 중요하다. 특히 흰 셔츠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다면 얼마나 우울한가! 어깨와 가슴폭, 팔뚝과 배 둘레 등에 잘 맞는 셔츠를 맞춘다면 옷에 우는 부분이 사라져 맵시가 난다. 그리고 셔츠를 입을 때는 속옷을 굳이 입지 않아도 된다. ‘메리야스’ 비치게 입지 말자.

니트, 힘 있는 천으로 여유 있게

몸매와 상관없이 니트를 입은 가을 남자에게서는 여유와 멋이 느껴진다. 단, 재질과 색상, 다른 옷과의 어울림이 중요하다. 되도록 안에는 얇은 셔츠를 입고 바깥에 조금 힘 있는 재질의 니트를 입으면 몸매가 가지런해 보인다. 얇은 재질의 니트나 카디건은 105 사이즈 이상이 되면 소매가 길거나 허리 아래로 길게 늘어질 수 있어 맵시가 나지 않을 수 있다.

임지선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