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독일 유학생, ‘극우 반대집회’ 나가보니…

등록 2015-01-07 19:24수정 2015-01-08 09:53

사진 김소민 제공
사진 김소민 제공
[매거진 esc] 김소민의 타향살이
2살 올르는 유모차에 앉아 빵을 빨았다. 누나 리자(10), 형 닐스(13)와 틸(9)은 학교 친구 찾느라 정신없었다. 지난달 15일 저녁 6시, 올르네 온 가족이 본 시내 카이저 광장에 섰다. 그 마실 풍경 주변으로 “난민 들어오고 나치 나가라” 플래카드가 빼곡히 흔들렸다. 애 넷 딸린 올르 엄마 앙겔라(42)가 말했다. “페기다, 나치가 설 자리가 없다는 걸 보여 줘야 해. 걔들이 아니라 우리가 다수야. 근데 페기다는 어디 있지?”

‘페기다’, ‘서구의 이슬람화를 반대하는 유럽 애국자들’의 준말이다. 10월께 함부르크에서 몸 풀더니 매주 월요일 여러 도시 돌며 몸집을 불렸다. 드레스덴에선 1만5000명이 모여 짱짱한 세 과시했다. 폭력적인 극우 훌리건이랑 엮지 말라며 자신들의 집회는 평화로운 ‘저녁 산책’이란다. 이날 5시부터 이곳에서 ‘산책’하겠다 한 그들이 미적거렸다. 얘들인가 보면 ‘페기다’ 비꼰 ‘서구의 바보화를 반대하는 모임’ 청년들이고, 쟤들인가 보면 밥, 블랙푀스 등 이곳 사투리 밴드들이 네오나치에 반대해 부른 ‘아따, 야그하잖께’를 귀청 뜯어내게 틀어놓고 있다.

“저기 있다.” 지루해질 참이던 닐스는 광장 한구석에서 소심하게 흔들리는 독일 국기를 보며 자기도 모르게 반색해 버렸다. 300여명쯤 모였는데 이미 풀 죽었다. 3000여명한테 완전히 포위된 까닭이다. 경찰이 두 그룹 사이 사람 띠를 엮어 가로막아 섰다.

목청 대결이다. 페기다 집회를 주도한 멜라니 디트머(36)가 마이크를 잡자마자 야유가 쏟아졌다. “우리가 국민이다.” 디트머가 옛 동독 시민의 민주화 구호를 가져왔다. 반대 진영에서 볼륨 한 톤 높였다. “너희는 국민이 아니라 나치야.” 디트머도 질세라 한 톤 높였다. “우리는 조국 독일을 지키는 애국자다.” “닥쳐. 닥쳐.” 확성기 하나론 머릿수에 밀렸다. 더 강력한 성대의 소유자인 미하엘이 단상에 올랐다. “베토벤의 나라…” 휘파람 조소에 말 중간 토막이 증발됐다. “지금 거리에…얼마나 히잡 쓴 사람들이 많은지…난민들은…호텔에서 호의호식…가난한 독일인은…안 돌보고….” 페기다 다음 주자 입만 열었다 하면 반대 진영에서 온갖 힙합과 하드록이 쏟아져 나왔다.

‘페기다’, 알다가도 모를 단체다. 독일의 무슬림화를 두려워하는 이 단체 집회가 가장 성공적이었던 곳은 무슬림 인구가 0.1%밖에 안 되는 작센주의 드레스덴이었다. 시사주간지 <슈피겔>에 따르면 독일 전체 따져도 무슬림은 5% 정도다. 기독교, 가톨릭, 유대교를 바탕으로 한 독일의 정체성을 지키겠다는데 정작 기독교 교회 연합은 이 집단에 반대하는 본 시내 집회의 주축이다.

극우는 절대 아니라는데 디트머는 극우정당 독일국가민주당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청년조직 대표였다. 전체 난민이 아니라 ‘나쁜’ 범죄자 난민을 거부한다는데 히잡 쓴 거리 여성들까지 걸고넘어지는 걸 보니 그 ‘나쁜’의 기준이 알쏭달쏭하다. 올르 엄마 앙겔라의 정리는 이렇다. “자기 인생 꼬이는 걸 난민과 외국인에게 덮어씌우는 일부 바보들이지.” 그날 페기다의 거리 산책은 3000여명 바리케이드를 뚫지 못하고 무산됐다.

앙겔라가 틀렸을지도 모른다. 지난달 <슈피겔> 설문에서 49%가 페기다를 이해할 수 있다 고 답했다. 설문에 뒤통수 맞아도 그날 저녁을 생각하면 안심이 된다. 이방인이지만 혼자는 아니다.

김소민 독일 유학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