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세월이 새겨진 물건들

등록 2015-02-04 20:14수정 2015-02-05 10:08

사진 김소민 제공
사진 김소민 제공
[매거진 esc] 김소민의 타향살이
우슐라(76)의 크리스마스에 절대 빠지지 않는 장식이 있다. 검은 옷 입은 산타(사진)다. 1950년에 11살 많은 큰오빠가 준 선물이다. 두꺼운 종이로 만든 깡통인데 볼은 여전히 발그레하다. 스프링에 달린 목은 뭐가 즐거운지 64년째 끄덕이듯 달랑거린다.

본래 이 산타 몸속엔 초콜릿 세 조각이 들어 있었다. 여섯살에 옛 동프로이센 땅에서 서쪽으로 피난 온 우슐라는 초콜릿을 앞니로 갉아 조금씩 녹여 먹었다. 그 전해 크리스마스에는 엄마가 과자를 한 움큼 구웠더랬다. 버터를 용케 구해 반달 모양을 빚었다. 바로 먹기 아까워 집에 들여놓은 전나무 가지에 장식으로 매달았다. 집었다 놨다 눈독 잔뜩 들였다. 그 맛을 상상하며 즐거움을 지연시키는 건 쌉싸래한 쾌감이었다. ‘사각 사각 사각.’ 아침에 일어나니 과자를 묶어뒀던 실만 남아 덜렁거렸다. 밤새 쥐 좋은 일 한 셈이었다. 그 억울한 크리스마스 한 해 뒤 오빠는 과자가 남긴 미련일랑 깨끗이 밀어버릴 환상의 맛을 선사한 거다.

그 뒤 오빠는 딸 둘에 아들 하나를 낳고 물류공장에서 일했다. 해가 유난히도 반짝이는 날, 오빠가 일하는 공장 지게차 운전사는 상자를 가득 싣고 공장 문 쪽을 향해 나서는 중이었다. 햇살이 찡 하고 눈에 박혔다. 앞이 캄캄해졌다. 그 순간 상자들이 쏟아져 내렸다. 오빠는 그 밑에 깔려 즉사했다. 35살이었다. 오빠가 살아 있다면 87살이 되는 올해에도 검은 옷을 입은 산타는 입이 귀에 걸린 채 우슐라의 명절을 지켰다.

우버(45)한테도 명절 필수품이 있다. 유리병 안에 담은 뒤 공백을 뽁뽁이로 메운 것도 모자라 헝겊으로 여러 겹 감싸 놨다. 할머니가 남긴 손바닥 반쪽만한 파란색 유리종이다. 파란색이라지만 종 꼭지만 원래 색을 증명하고 있다. 우버의 증조할머니 것으로 전해지니 족히 100년은 됐다. 할머니는 전쟁 통에 다섯살 된 딸과 피난길을 나섰다. 남편은 징집됐다. 수레를 끌 말이나 소도 없으니 양손 가득 봇짐이 전부였다. 여섯달 동안 서쪽으로 걸었다. 가는 길에 쓸 만한 손수레 발견하고 감사기도 올리자마자 덩치 큰 피난민에게 빼앗겼다.

우버가 20살 생일을 맞아 영국 여행 떠나 있을 때 할머니는 뇌출혈로 숨졌다. 마지막 대화는 “우버야 돈은 꼭 복대에 넣고 다녀라”였다. 우버는 미처 물어보지 못했다. 생필품 넣기도 빠듯한 그 봇짐 속에 이 유리종을 싸왔던 까닭을 말이다. 그저 매 크리스마스에 그 종을 달며 상상할 뿐이다. 할머니가 그 세월을 버티려면 이 종이 필요했을지도 모른다.

베른트(48)에게는 명절뿐 아니라 사시사철 집 한 귀퉁이를 지키는 47살 곰 인형이 있다. 베른트 생에 첫 곰 인형으로 아버지가 만든 거다. 짱짱한 천을 사 재단하고 몸 안은 솜으로 채웠다. 목과 두 팔, 두 다리에는 관절을 끼워 넣었다. 털은 숭숭 빠졌지만 관절은 여전히 잘 돌아간다.

곰 인형의 이름은 ‘대디’다. 아버지는 이 인형을 완성한 날 쪽지도 썼다. 베른트의 사진첩에 끝이 나달나달해진 그 쪽지가 남아 있다. “안녕. 내 이름은 ‘대디’야. 나를 아껴줘. 이름을 봐도 알겠지만 나는 아버지의 큰 사랑으로 만들어진 곰이거든. 언젠가 진짜 아버지가 네 곁에 있어주지 못할 날이 올 거야. 그래도 걱정 마. 대신 ‘대디’가 널 지켜줄 거니까.”

김소민 독일 유학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