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내겐 너무 섹시한 펜슬스커트

등록 2015-06-17 20:36수정 2015-06-18 10:12

여주인공 엘리자베스(킴 베이싱어)가 존(미키 루크)을 위해 조 코커의 ‘유 캔 리브 유어 햇 온’(You Can Leave Your Hat On)에 맞춰 스트립댄스를 추는 유명한 장면
여주인공 엘리자베스(킴 베이싱어)가 존(미키 루크)을 위해 조 코커의 ‘유 캔 리브 유어 햇 온’(You Can Leave Your Hat On)에 맞춰 스트립댄스를 추는 유명한 장면
[매거진 esc] 정준화의 다시보기
피처에디터라는 직업에 대해 한마디로 설명하라면 이렇게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패션잡지에서 일하면서도 패션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집단’. 물론 개중에는 웬만한 패션기자 못지않은 지식과 취향을 과시하는 예외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나는 새로운 시즌의 경향에 관한 수다 따위는 제2외국어와 엇비슷하게 이해하는 수준이다. 그렇게 겉도는 전학생 같은 기분으로 몇 마디를 얻어듣다 보면 종종 어리둥절해지곤 한다. 풍월로 랩을 하는 3년차 서당개를 본받아, 샌들에 양말을 신으면 안 된다는 기초 상식쯤은 확실히 숙지했다고 생각했더니만 이제는 또 샌들에 양말을 신는 게 최신 유행이라고 한다. 도대체 뭘 어쩌라는 건가 싶다.

물론 함께 일하는 패션에디터들이야 디자이너들의 새롭고 과감한 아이디어를 자연스럽게 수용한다. 대다수 사람들의 눈에는 대담해 보일 법한 의상이나 액세서리도 큰 망설임 없이 시도하는 편이다. 그런데 패션이 너무 익숙해진 사람들 나름의 고충도 있는 모양이다. 특히 여자 기자들은 다음과 같은 자조적인 한탄을 할 때가 있다. “맨날 이렇게 입고 다니니까 연애가 안 풀리지.” ‘이렇게’의 구체적인 내용은 당연히 시즌에 따라 바뀐다. 한때는 파워숄더 재킷이었고, 또 언젠가는 스터드 장식의 구두였다. 영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등장인물과 견주자면 하늘하늘한 천 조각을 휘감은 브리더보다는 퓨리오사나 부발리니 전사에 가까운 모습인 것이다. 평소 차림대로 소개팅 장소에 도착하면 상대방 남자의 얼굴이 워보이처럼 하얗게 질린다고들 한다.

아, 그렇다고 이 지면에서 ‘남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백발백중 스타일링’ 같은 걸 맨스플레인(남자가 잘난 척하며 여자에게 설명하는 것) 할 생각은 없다. 그렇지 않아도 숙이고 눈치 보고 맞춰가며 살 일이 많은 세상에 옷 정도는 각자 입고 싶은 걸 입어야 하지 않을까? 게다가 파워숄더 재킷 정도에 겁을 먹고 도망가는 남자라면 놓쳤다고 그리 아쉬워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다만 패션 무지렁이 남성 한 명이 특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여성의 옷차림은 어떤 것인지, 사례 수집 차원에서 들어보고 싶다면 개인적인 견해를 이야기할 수는 있겠다. 일단 떠오르는 건 에이드리언 라인이 연출한 영화 속의 장면들이다. 조지 밀러가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로 젊은 감독들에게 액션에 대해 한 수 가르쳐준 것과 마찬가지로, 나는 언제고 이분이 다시 복귀해서 섹시함의 본때를 보여주길 기다리고 있다.

정준화 <W Korea>피처 에디터
정준화 피처 에디터
1986년작인 <나인 하프 위크>는 올해 초 개봉된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와 마찬가지로 선남선녀의 위험한 일탈을 다룬 로맨스다. 여주인공 엘리자베스(킴 베이싱어)가 존(미키 루크)을 위해 조 코커의 ‘유 캔 리브 유어 햇 온’(You Can Leave Your Hat On)에 맞춰 스트립댄스를 추는 유명한 장면(사진)은 펜슬스커트가 얼마나 섹시한 아이템인지를 증명한다. 일단 재킷부터 벗어던진 여자는 어스름한 조명을 받으며 벽에 비스듬히 기댄다. 그리고 그 순간, 스커트의 길고 날씬한 실루엣이 선명하게 강조된다. 에이드리언 라인은 우아하고 클래식한 의상을 야하게 연출하는 능력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언페이스풀>의 초반부, 돌풍이 다이앤 레인의 단아한 트렌치코트를 뒤집어 올리는 바람에 쭉 뻗은 다리가 드러나던 장면에서도 다시 한번 확인된 내용이다. 일상적이고 무난하고 다소 엄격해 보이는 아이템에 기습적인 에로티시즘을 곁들이는데 그 방식이 느끼하거나 억지스럽지 않고 자연스러워서 더 자극적이다. 오래전 <나인 하프 위크>를 보고 난 뒤로 펜슬스커트는 내게 강력한 페티시가 됐다. 몇 차례의 새로운 시즌이 거듭되고 디자이너들이 온통 찢어지고 여기저기 구멍 뚫린 옷들을 내놓는다고 해도 유행에 둔한 내 취향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이게 다 에이드리언 라인 때문이다.

정준화 피처 에디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