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자외선도 날 넘보진 못해!

등록 2009-05-18 21:23

자외선도 날 넘보진 못해!
자외선도 날 넘보진 못해!
[건강2.0] 자외선 차단제 100배 활용법
5~6월 최대치…SPF 15~30 적당해
스킨-로션 다음 듬뿍 발라야 효과
“피부 노화를 막으려면 자외선을 피하라.”

피부과 의사들이 공통으로 권하는, 젊고 탱탱한 피부 유지법 중 하나다. 그만큼 자외선은 굵은 주름을 발생시키고 피부의 탄력을 약화시키는 주범이다. 더구나 최근 10년 동안 오존층이 급속도로 파괴되면서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 양이 늘었고, 이로 인해 피부암 발생 가능성도 더 커졌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이다. 누구나 하나쯤은 갖고 있는 선크림.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는 이는 많지 않다. 화장품 회사원 출신으로 화장품의 위험성을 고발하는 책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을 쓴 저자 이은주씨와 대한피부과학회 학술이사를 맡고 있는 이주흥 성균관대 의대 교수의 자문을 받아 자외선 차단제에 대해 알아봤다.

■ 햇볕이 뜨거운 여름만 발라주면 된다? (X)

스킨-로션 다음 듬뿍 발라야 효과
스킨-로션 다음 듬뿍 발라야 효과
그렇지 않다. 봄에서 가을까지 발라주는 것이 좋다. 자외선의 양은 봄에서 여름에 걸쳐 급증하며 특히 5~6월이 최대치를 기록한다. 광과민성 질환은 봄철에 많이 일어나므로 봄철엔 더 주의해야 한다. 특히 파장이 긴 자외선 A(UVA)는 날씨나 계절과 무관하게 지표면에 도달하고 창문이나 커튼으로도 차단되지 않는다. 자외선 A는 진피까지 깊숙이 침투해 피부의 탄력을 떨어뜨리고 주름을 만들기 때문에 사계절 주의해야 한다. 어부, 농부, 등산가 등 햇볕에 자주 노출되는 사람, 햇볕에 민감한 사람, 면역억제제를 먹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 신경 써야 한다.

■ 자외선 차단 지수가 높을수록 좋다? (▲)

자외선 차단제 지수에는 SPF(Sun Protection Factor)와 PA(Protection Factor of UV-A)가 있다. SPF는 자외선 B(파장이 짧은 자외선)의 차단 지수이고, PA는 자외선 A의 차단 지수다. 자외선 차단제를 고를 때는 이 두 지수가 모두 표시된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SPF15는 자외선 차단율이 약 93%, SPF30은 차단율이 97%다. 최근엔 SPF50, SPF100까지 나오기도 하는데, 차단 지수가 높을수록 그만큼 피부에 대한 자극도 세다. 따라서 굳이 차단지수 높은 것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권장량을 잘 지킬 수 있고, 야외 활동이 많지 않은 사람이라면 SPF15~30 정도면 된다.


■ 조금만 발라도 자외선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X)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양을 감소시킬 뿐이다. 보통 다른 화장품의 경우 너무 많이 발라 문제가 되지만 자외선 차단제는 너무 적게 발라 문제가 된다.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몸 전체를 발라야 할 경우 위스키 잔으로 하나 가득 부은 양(2㎎/㎠)을 발라야 한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그렇게 바르지 않는다. 보통 권장량의 10~50% 정도밖에 바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따라서 자외선이 센 장소, 시간대를 가급적 피하는 게 가장 좋고, 자외선 차단제를 충분히 발라야 한다. 또 선글라스나 차양 넓은 모자, 양산, 긴팔 옷 등 보조 수단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 지난해 쓰던 걸 올해 써도 괜찮다? (▲)

자외선 차단제에는 화학물도 들어가고 방부제도 들어간다. 화장품의 유통기한은 ‘화장품의 뚜껑을 잘 닫고 공기, 자외선, 열 등을 피할 수 있는 서늘한 곳에 보관했다’는 전제 조건 아래서이다. 화장품의 변질은 눈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다. 개봉한 지 1년이 넘은 자외선 차단제는 주요 성분이 산화될 가능성이 높아 제 기능을 못할 가능성이 높다.

■ 스킨-로션 다음에 발라주면 된다 (O)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흡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킨과 로션 다음에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면 된다. 색조 화장은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뒤 하면 된다.

글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사진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