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축구연맹, 제재 강화키로
그동안 축구경기 중, 코너킥이나 프리킥 때 벌칙구역(PA) 안에서 벌어지는 선수들의 몸싸움에 대한 확실한 제재규정이 없었다. 서로 심하게 밀쳐도 심판들이 그냥 놔두는 게 다반사였다. 또 경기 중 한 선수가 반칙을 당해 그라운드에 넘어져 있으면 상대 선수들이 알아서 공을 밖으로 차내 경기를 중단시키는 게 관례처럼 여겨졌고, 관중들도 이에 페어플레이라는 뜻의 박수를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유럽축구연맹(UEFA)은 이런 행위들이 “현대축구의 이미지를 해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제재하기로 해 주목된다. 최근 스위스 니옹 유럽축구연맹 본부에서 고위 심판들은 이틀간 회의를 열고 “최근 팔을 사용하는 반칙이 늘어가는 추세”라며 “프리킥이나 코너킥 직전, 상대 선수의 유니폼을 잡아당기거나 밀거나 하는 행위에 대해서 적절한 조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심판위원회 안젤 마리아 빌라 로나 위원장은 “벌칙구역은 레슬링장이 아니며, 셔츠를 당기는 것도 축구가 아니다”며 “벌칙구역에서 용기있게 반칙을 선언하는 심판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심판들은 또 “경기 중 부상자가 발생할 경우, 선수는 경기속행 여부를 전적으로 주심 판단에 맡겨야 한다”며 “일부러 공을 차내더라도 공격권을 되돌려 받지 못할 것”이라며 그런 관행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김경무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