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한국 역도, 부흥기 도래하나

등록 2008-08-13 22:15

한동안 침체기에 빠져 있던 한국 역도가 2008 베이징올림픽 사재혁(23.강원도청)의 금메달 획득으로 술렁이고 있다.

사재혁이 13일 남자 역도 77kg급에서 값진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역도는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작은 거인' 전병관(현 대표팀 상비군 감독)이 우승을 차지한 뒤 12년 동안 겪어오던 올림픽 금메달 가뭄을 마침내 해갈했다.

역도는 1948년 런던올림픽에서 김성집의 미들급 동메달이 처음이었고 1952년 헬싱키올림픽에서도 김성집이 다시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땄다.

1956년 멜버른올림픽에서 김창희가 라이트급 동메달로 메달 획득을 이은 데 이어 1988년에는 전병관과 이형근이 은메달, 동메달을 각각 목에 걸었고 1992년 바르셀로나에서 전병관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을 때 한국 역도는 전성기를 꽃피우는 듯 했다.

하지만 1996년 애틀랜타에서 전병관이 올림픽 2연패를 노렸지만 실패했고 `아시아의 역사' 김태현도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서 다시 심각한 가뭄이 시작됐다.

김순희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75㎏급 메달 획득이 유력했지만 지나친 부담감을 이기지 못하고 좌절했고 이배영도 경험 부족과 판단 실수로 메달을 목에 걸지 못했다.

4년 만에 재기를 노린 한국 역도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이배영과 '여자 헤라클레스' 장미란이 남녀 동반으로 은메달을 목에 걸면서 끊어진 메달 맥을 다시 이었다.

이후 역도 대표팀 실력이 전반적으로 상향돼 역대 최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번 올림픽 대표팀은 지난 10일 여자 53kg급 윤진희의 은메달에 이어 사재혁마저 금메달을 따 기대에 한껏 부응했다.


사재혁과 윤진희가 메달 물꼬를 확 튼 것을 나머지 선수들이 더 넓히는 새로운 부흥기를 열어갈 수 있을 지 기대된다.

(베이징=연합뉴스) gogo213@yna.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