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자전거 열애 35년…페달 밟으면 “난 청년”

등록 2009-01-12 19:39

‘투르 드 코리아’ 3연패를 노리는 김동환(47)씨가 10일 서울 올림픽공원 근처 사이클 실내연습장에서 동호인들과 함께 훈련하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투르 드 코리아’ 3연패를 노리는 김동환(47)씨가 10일 서울 올림픽공원 근처 사이클 실내연습장에서 동호인들과 함께 훈련하고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떴다! 아·마·고·수]
도로사이클 ‘투르 드 코리아’ 스페셜 부문 김동환씨
포르르, 하얀 입김이 세차게 피어오른다. 아침 최저 기온 영하 10℃, 체감 기온 영하 15℃ 안팎을 오르내리던 지난 10일 아침. 빨간색 비니모자를 둘러쓴 ‘아저씨’가 단단히 채비를 해 남한산성으로 향한다. 2시간여 산행을 마치더니, 곧바로 이번엔 1시간 넘게 실내용 자전거. 영하 5℃ 밑이 아니었다면, 실전 훈련을 하는 날이다.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팔당댐을 돌아 남한산성을 오르내리는 60㎞짜리 코스다. 자전거를 탄 채, 높이 800m를 넘는 유명산 정상도 거친다. 실내용 자전거 훈련을 마친 뒤, 그는 “유명산까지는 가야 마음이 뿌듯한데…”라며 입맛을 다신다. 저녁에도 2시간 짜리 훈련이 이어진다. 주 5일씩, 그의 말대로 “밥 먹듯 훈련을 하는” 셈이다.

47살 노장 2연패 괴력 “나이는 숫자에 불과”

사이클 동호인들에게 ‘꿈의 무대’로 통하는 ‘투르 드 코리아’ 2년 연속 우승자 김동환씨(47·팀명 프로사이클). 투르 드 코리아는 동호인(스페셜 부문) 선수들이 전문 선수(엘리트 부문)와 별도로, 부산에서 시작해 하루 최저 55.2㎞에서 최대 131.3㎞까지 총연장 689㎞에 이르는 구간을 자전거로 달리는 국내 최대 규모 사이클 대회다. 전국 사이클 동호인 중 내로라 하는 선수들이 총출동한다. 2007년 첫 대회부터 그는 2회 연속 챔피언이 됐다. 1962년생, 나이가 벌써 47살이다. 젊은 선수들은 “이해를 못하겠다”며 고개를 갸웃거린다. 이길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운동은 거짓말 안해요. 나보다 노력을 덜한거지.” 그가 알려준 우승 비법이다.

첫 대회에서는 압도적인 기량으로 개인 우승과 소속팀 삼천리 자전거의 단체전 우승도 이끌었다. 한살 더 먹은 나이 때문일까? 지난 대회에선 간발의 차이로 챔피언에 올랐다. 하지만, 그를 빼고 10위권 9명 가운데 최연장자가 1978년생일 정도로 한창인 선수들과 겨뤄서 따낸 우승이다.

주 5일 하루 4시간 이상 ‘밥먹듯’ 훈련


“언덕에서는 진짜 실력 대 실력으로 붙는 거에요. 젊은 사람들을 못 따라가죠.” 평지라면 언제든 1㎞쯤 따라잡을 자신이 있다. 경기에선 장점인 지구력을 최대한 살려 승부를 본다. 펑크라도 나면 치명적이다. 평균시속 40~50㎞로 자전거를 몰면서 장갑 낀 손으로 때마다 앞뒤 타이어를 쓸어줘야 한다. 노련미다. “나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야 해요.” 넘어지면 손쉽게 뼈가 부러지지만, 부상을 무서워해선 속도를 낼 수 없다.

지금은 바퀴 한 짝만 300만원에 이르는 고가 장비지만, 7살 때 ‘쌀 배달차’로 처음 자전거를 배웠다. 공부는 꼴찌를 맴돌았어도, ‘하나라도 잘하는 게 있어야지’라는 생각에 중학 시절 사이클을 시작했다. 한때 실업팀(한일 나일론)에서 뛰었다. “선수가 동호인을 상대하면 ‘반칙’ 아니냐”고 물었다. “선수 생활을 마치면 동호인들보다 못한 경우가 많아요. 노력 안하면 다 똑같죠.”

1994년 경륜이 출범하면서 다시 자전거와 인연이 닿았다. 6평짜리 점포를 냈다. 함께 자전거를 타자는 사람들이 늘었는데, “처음엔 힘도 못 썼다”고 했다. 그래도 시합 나가면 잘해야 한다는 오기는 살아있었다. 산악자전거(MTB)로 다시 운동을 시작했고, 철인 3종 경기를 거쳐 2006년 본격적인 도로사이클을 시작했다. 그리곤, 크고 작은 대회에서 우승만 30여차례. 투르 드 코리아 우승 상금 500만원을 포함해 1300여만원 ‘부수입’을 올렸다.

‘튼튼한 하체 유지 비법’을 물었다. 그는 “허벅지 두께가 중요한 건 아니다”고 했다. 대신 가슴을 쓸어보인 뒤 “이게 중요하다”며 심폐 기능을 강조했다. 자전거를 잘타기 위해선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이란다. 꾸준한 운동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포기 안하니 젊은 선수들 못따라와”

‘가족보다 오래된’ 35년 친구, 자전거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사람의 힘만으로 가는 것 중에 가장 빠른 게 자전거에요. 속도를 즐길 수 있고, 자연과 같이 운동을 하니 의욕이 생길 수밖에 없죠.” 교통·환경 문제에 도움이 되고, 무릎이 약하거나 힘든 운동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도 좋다고 말할 때는 입에 침이 마른다.

그는 “나이는 ‘정말’ 숫자에 불과한 것 같다. 단, 노력을 해야 한다”고 했다. 앞으로 15년 정도 더 동호인선수 생활을 할 생각이다. 당연히 성적이 나올 때까지란 뜻이다. 새해 목표는 투르 드 코리아 3연패 달성으로 잡았다. “내 노하우는 포기를 안하는 끈기에요. 이를 악물고 가는 거죠. 젊은 선수들이 나를 못 따라오는 이유에요.”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