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인천 아시안게임의 개막식 장면. 인천/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눈높이 높아진데다 스타 부재
조직위 어설픈 운영도 한몫
국민 53% “관심 없다” 대답
입장권 수입, 목표치의 65%
평균 시청률도 5.6%에 그쳐
조직위 어설픈 운영도 한몫
국민 53% “관심 없다” 대답
입장권 수입, 목표치의 65%
평균 시청률도 5.6%에 그쳐
2014 인천아시안게임이 무관심 속에 막을 내릴 처지에 놓였다. 대회 폐막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폐막식이 언제인지 모를 정도로 무관심한 시민들이 많다. 한국의 금메달 경기조차 중계가 제대로 안 되고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방송 시청률은 초라하다. 국민들도 선수들의 투혼에 예전만큼 열광하지 않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경제 수준이 높지 않던 시절에는 헝그리 정신으로 뭉친 선수들의 투혼을 보면서 국민들이 열광했지만 지금은 국민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세계적 스타가 많지 않은 아시안게임에는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평했다.
안방에서 열리는 국제 대형 이벤트라는 점을 고려하면 시청률은 초라한 수준이다. 닐슨코리아 등 시청률 조사회사들의 집계를 보면 개막식 시청률은 24.8%로 지난 광저우 대회(16.5%)에 견줘 늘었으나 1일까지 최고 시청률은 광저우 대회보다 크게 낮았다. 이번 대회 최고 시청률은 지난달 23일 박태환이 동메달을 차지한 남자 수영 자유형 400m 결승으로 26.4%를 찍었다. 광저우대회 때는 박태환이 출전한 1500m 자유형 결승전 시청률이 34.8%였다.
전 종목 평균 시청률은 5.6%에 그치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의 한 아시안게임 중계팀 관계자는 “세월호 정국과 경기불황에 관심 밖으로 밀려난 면을 무시할 수 없지만 지난 광저우대회 때 수영의 정다래처럼 대회 초반에 툭 튀어나오는 스타가 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하면서 전체적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대회 개막 전부터 ‘그들만의 대회’는 예견됐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개막 전 실시한 인천아시안게임 관심도 설문조사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53%가 ‘관심이 없다’고 답했다. ‘관심이 있다’는 이들은 45%에 그쳤다. 2002년 부산대회 때는 65%, 2012년 런던올림픽은 59%가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경기장을 찾는 발길도 뜸하다. 대회 반환점을 훌쩍 넘긴 30일까지 230여억원어치의 입장권이 팔려 애초 목표액의 65.7% 수준에 그치고 있다. 폐막식 입장권은 목표액(100억원)의 절반도 팔리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조직위는 최근 입장권 판매 목표금액을 애초 350억원에서 280억원으로 20% 내려잡았다.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가 많지 않아 흥행 요인이 적은 것이 주된 원인으로 거론된다. 정윤수 스포츠평론가는 “86년 서울대회 때처럼 국민소득이 낮았던 때는 ‘라면소녀’ 임춘애(육상)처럼 헝그리 정신으로 뭉친 선수들의 투혼에 국민들이 열광했지만 지금은 국민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일부 세계적 스타를 제외하고 별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조직위의 어설픈 대회 운영도 ‘전국민적 무관심’을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개막일인 19일부터 하루도 빠지지 않고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터지면서 외신으로부터 “한국판 전국체전이냐”는 비아냥이 터져나왔다. 정윤수 평론가는 “손님을 불러놓고 국내 팬들의 관심을 이끌어내지 못한 조직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연기 김양희 기자 ykkim@hani.co.kr
28일 인천아시아드경기장에서 열린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육상 경기를 찾은 시민들. 빈자리가 많이 보인다. 2014.9.28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