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두산 베어스가 일본 미야자키 전지훈련을 마치고 10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는 장면. 김태형 감독이 입국장을 나서고 있다. 영종도/연합뉴스
프로야구가 14일 시범경기를 시작으로 2017시즌 대장정에 들어간다. 케이비오(KBO)리그 10개 구단은 시범경기에서 스프링캠프 기간 연마한 기량을 점검한다.
지난해까지는 팀당 18경기씩 시범경기를 치렀다. 올해는 스프링캠프 시작일이 2월1일로 늦춰지고 3월엔 국내에서 세계야구클래식(WBC) 1라운드가 열려 시범경기 일정이 축소됐다. 수원에서는 구장 공사 관계로 경기가 열리지 않는다. 시범경기는 모두 오후 1시에 시작한다. 21일과 22일에 잠실에서 열리는 케이티(kt)와 엘지(LG)의 경기만 오후 5시에 치른다. 연장은 실시하지 않는다. 취소된 경기에 대한 재편성도 없다.
시범경기 첫날인 14일엔 부산에서 에스케이(SK)와 롯데가 맞붙고, 대구에서 케이티와 삼성이, 광주에서 두산과 기아(KIA)가, 대전에서 엘지와 한화가, 마산에서 넥센과 엔씨(NC)가 대결한다. 3월26일까지 12일 동안 팀당 6개 팀과 두 차례씩 대결해 12경기씩을 치른다. 총 60경기다.
시범경기의 매력은 다양한 선수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각 구단은 최대한 많은 선수를 기용해 실전 감각을 키우고, 비 주전 선수의 1군 진입 여부를 결정한다. 육성 선수도 시범경기 출장이 가능하다. 벤치의 움직임도 활발해진다. 대부분의 감독들은 전지훈련 중에 열린 평가전에서는 코치와 선수들에게 작전 등을 맡긴다. 하지만 최종 시험 무대인 시범경기에서는 주루, 수비, 투수 운영 등에 깊숙히 관여한다.
김성근 한화 감독은 “시범경기에서 점검할 게 엄청나게 많다”고 했고 김진욱 신임 케이티 감독도 “스프링캠프에서는 코치와 선수들에게 경기를 맡겼다. 이제는 여러 작전을 구사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시범경기가 절실한 선수들도 많다. 10개 구단 감독들 모두 “시범경기에서 5선발 등 주전 선수들을 최종 결정할 생각”이라고 밝힌 만큼 1군 무대에 진입하려는 선수들의 치열한 팀 내 경쟁도 예상된다.
팀 성적은 큰 의미가 없다. 시범경기 1위 팀이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기록은 많지 않다. 총 5팀이 시범경기 1위 후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확률은 19.2%다.
권승록 기자
ro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