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피플] 여기 아직 개들이 있어요
④ ‘천덕꾸러기’ 대형견들 이사가던 날
예능 출연 뒤 입양 급증한 대형견들, 돌보기 힘들다며 유기
위탁처 생활 끝내고 새 보금자리로…“맘껒 짖어도 안심 돼”
④ ‘천덕꾸러기’ 대형견들 이사가던 날
예능 출연 뒤 입양 급증한 대형견들, 돌보기 힘들다며 유기
위탁처 생활 끝내고 새 보금자리로…“맘껒 짖어도 안심 돼”
경기도 포천시 사설유기견 쉼터에 머물고 있는 그레이트 피레니즈 ‘레니’의 눈은 지난해 9월 애린원 철거 이후 계속된 활동가들의 관심으로 인해 생기가 다시 돌기 시작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경기도 포천시 사설보호소 애린원이 철거된 지 150여일이 지났습니다. 구조된 1652마리의 개들이 옛 애린원 부지에 세운 ‘포천쉼터’에서 힘겨운 겨울을 견디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은 지난 1월 중순부터 한달간 비글구조네트워크를 도와 포천쉼터의 개체를 조사해 1천여 마리 개들의 얼굴을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유기견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러졌던 이 개들도 제각각의 외모와 성격을 지닌 하나의 생명임을 기록했습니다. 이들 중 4마리 개들의 사연을 전합니다.
비글구조네트워크는 생후 2개월이 지난 강아지들의 입양, 임시보호를 적극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동물보호·친환경 패션업체 ‘그린블리스’, 환경·동물복지를 추구하는 패션문화잡지 ‘오보이’와 함께 네이버 해피빈에서 크라우드 펀딩도 진행합니다.▶▶네이버 해피빈 펀딩 ‘1040마리의 개들을 돕는 따뜻한 제품’
입양을 기다리는 새 생명들은 비구협 인스타그램(@aerin_adopt)과 네이버 카페(cafe.naver.com/forlives/)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일 오후 보은쉼터에 개들을 실은 트럭이 도착하자 활동가들의 발이 바빠졌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대형견 ‘쿠키’의 이사가던 날 낮 1시30분 선발대로 출발한 개들이 비글구조네트워크 ‘보은쉼터’에 도착했다. 애린원 구조견 대부분이 포천쉼터에서 지내는 것과는 달리, 이 대형견들은 공간이 부족한 탓에 근처 위탁처에서 지내던 터였다. 이날 이동할 개체 수는 모두 44마리로, 트럭 두 대에 나눠 타고 출발하기로 했다. 이사는 이른 아침부터 시작됐다. 1일 오전 8시 경기도 포천시 한 위탁처에는 비글구조네트워크(이하 비구협) 포천쉼터 활동가들이 개들의 이동을 준비 중이었다. 위탁처는 이전에 축산농가로 사용됐던 곳으로 마을 깊숙한 곳에 있었다. 칸칸이 지어진 견사 내에 개들이 한 마리씩 들어가 있었다. 외부가 보이지 않아 안정적이긴 했지만, 좁고 어두운 데다 사람 만날 기회가 적어 보이는 곳이었다.
2월1일 오전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위탁처에서 44마리 대형견들의 보은쉼터 이사가 시작됐다. 켄넬을 옮기고 있는 비글구조네트워크 활동가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이층 벽돌집, 개들의 새 보금자리 개들이 탄 트럭이 보호소 마당에 들어오자 쉼터가 부산스러워졌다. 화물칸 문이 열리고 개들의 이동장부터 땅으로 내려졌다. “어, 얘는 마돈나 새끼 아니야?” 미리 보은쉼터에서 기다리던 유영재 비글구조네트워크 대표가 쿠키를 알아보고 반가워했다. 활동가들은 대형견이란 이유로 여러 번 거처를 옮기고, 고생한 아이들이 낯익은 눈치였다.
1일 위탁처에서 보은쉼터로 이동한 개 ‘쿠키’. 쿠키는 생존사 쉼터 시절부터 활동가들과 지내온 개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보은쉼터 견사동은 1층에 14칸, 2층에 20칸으로 나뉘어 있었다. 1층의 경우 내실과 외실, 운동장으로 공간이 구분돼 있어서 개들이 안 팎으로 오가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이사가 지치고 힘들었는지 켄넬 바닥에 낮게 엎드린 대형견.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보은쉼터 앞마당에 ‘켄넬 아파트’가 생겼다. 개들은 견사 입소전에 암수, 중성화 여부, 외상 여부 등을 검사받았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인기 반려견 ‘상근이’들의 비극 새 식구들이 2층으로 올라가자 견사가 개 짖는 소리로 소란스러워졌다. 개들은 텃세인지, 인사인지 펜스에 몰려나와 짖으면서 꼬리를 쳤다. 지난 1월19일 이곳에 먼저 입주한 대형견들이었다. 1차로 입주한 65마리를 포함해 이날 늘어난 44마리까지, 3월 현재 보은쉼터의 보호 개체 수는 모두 120여 마리 수준이다. 덩치로는 일등인 ‘순박이’도 먼저 들어온 개들 중 하나다. 순박이는 대형견 중에서도 초대형견인 그레이트 피레니즈 종이었다. 이날 개들의 두번째 이사에 맞춰 서울에서 봉사를 온 김미영씨는 애린원 철거 때부터 순박이를 알고 있었다고 했다. “저는 흰둥이라고 불러요. 보은에 자리 잡고 털도 찌고 많이 예뻐졌어요. 잘 지내는 거 보면 너무 뿌듯해요. 애린원 철거 때 상태 안 좋은 피레니즈들이 많았거든요.”
심각한 피부염과 열상 등으로 병원에 입원했던 ‘레니’. 비글구조네트워크 제공
레니는 포천쉼터 활동가와 봉사자들의 관심으로 다시 건강을 되찾았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지난 2월5일 포천쉼터 봉사자 김재은씨가 레니와 보호소 뒷마당을 산책하고 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이제 맘껏 짖고, 마음껏 낮잠 자렴” 지난 5일, 이사 한달 째를 맞는 대형견들이 잘 적응하고 있는지 김병길 보은쉼터 소장에게 물었다. 김 소장은 “개체 수가 늘어나 개들이 조금 예민해져 있지만 대체로 잘 지낸다”고 전했다. 개들이 스트레스로 서로 싸우는 일을 줄이기 위해 개방된 견사 사이에 칸막이를 세우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대형견들을 보살피느라 더 어려운 점은 없냐는 질문에 의외의 답이 돌아왔다. “이제 개들 짖는 소리가 들리니까 안심이 돼요.” 그동안 주눅 들고 병들었던 개들이 활력을 되찾으면서 짖기도 하고, 말썽을 부리기도 한다는 것이다. “구석에 숨거나 침대 밑에 기어들어가 있던 애들이 이제 창틀에 발을 걸치고 바깥 구경도 하고, 사람에 대한 경계도 점차 풀고 다가오니까 아픈 게 줄어들었구나 생각하죠.”
낯선 곳이 불안한지 켄넬에서 나오려고 하지 않는 개들은 문을 열어 켄넬 채 견사에 들어갔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