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 계획도. 김해신공항은 브이(V) 형태의 활주로를 갖추게 되는데, 오른쪽 활주로는 기존 김해공항 활주로이고 왼쪽 활주로는 새로 건설될 활주로이다. 기존 활주로 방향 북쪽에는 산이 있고, 신설 활주로 선상에는 김해 시가지가 있다.
부산·울산·경남 시도지사가 김해신공항 건설과 관련해 실무검증단을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신공항 대책본부’쪽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김해을)은 9일 경남 김해의 한 식당에서 만나 이렇게 결정했다. 한 관계자는 “자세한 내용은 10일 오전 9시30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김경수 지사와 김정호 국회의원이 기자회견을 열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책본부 쪽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참석자들은 정부의 김해신공항 건설계획을 분석한 결과 활주로 북쪽의 산을 깎지 않고 활주로 방향만 40도 틀어서 건설했을 때 발생하는 안전 문제, 현장조사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로 결론 내린 소음 문제, 신설 활주로의 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 추가 확장이 어려운 문제, 엄격한 군사기지법을 적용하지 않은 위법성, 이런 문제들을 종합했을 때 관문공항으로서 구실을 할 수 있을지 의문 등 크게 5개 부문에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실무검증단을 구성해 국무총리실에 검증 결과를 제출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국무총리실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검증결과를 검토해 결론을 낼 것이라는 전제하에, 국무총리실의 결정을 따르기로 합의했다. 검증단장은 김정호 의원이 맡는다.
앞서 지난 6일 국토교통부는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에서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타당성평가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어 “김해신공항 입지와 관련한 지역의 문제제기를 받아들여 ‘동남권 신공항 대책본부’와 공동검증 수준의 협업 체계를 마련해 기본계획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대책본부 관계자는 “공동검증을 한다면 국토부가 자신들의 논리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부산·울산·경남이 실무검증단을 운영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이날 결정에 대해 설명했다.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김해신공항을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건설하겠다고 공약했다. 관문공항이란 국제선 위주의 권역 중심공항으로, 24시간 항공기 이착륙이 가능해야 하고 인천공항 재난시 대체공항 구실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