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2매립장.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수 있는 매립지(이하 대체 매립지) 선정 지연에 반발해 대체 매립지 관련 4자 협의체 회의에 불참했던 인천시가 시장이 바뀌면서 다시 참여한다.
인천시는 오는 16일 열리는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가 참여하는
수도권매립지 국장급 회의에 참여한다고 8일 밝혔다. 인천시가 대체 매립지 확보 관련 논의에 참여하는 것은 인천만의 자체 매립지 조성 및 대체 매립지 논의 불참을 공식화한 지난해 5월 이후 처음이다.
인천시의 이번 협의 참여는 유정복 당선자가 4자 협의를 통해 수도권 3개 시·도가 함께 쓰는 대체 매립지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유 당선자는 당선 직후인 지난 2일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박남춘 시장이) 자체 매립지 만든다고 하는데 자체 매립지만 만들면 수도권매립지 문제가 해결되는가”라며 “(이미 맺은) 4자 합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으니 당연히 수도권매립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4자 협의에서 인천시는 대체 매립지 확보와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 매립지정책과 담당자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인천시는 그동안 인천의 자체 매립지를 만들겠다는 입장이었는데 당선자는 그 방향이 아니니 (매립지 문제가) 멈춰있는 상황”이라며 “대체 매립지 확보 논의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으니 그동안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듣는 자리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달 17일 <한국방송>(KBS) 라디오에 출연해 “대체 매립지는
경기도 포천이라고 지금 알고 있다. 서울·경기는 포천 매립지를 인천은 (앞으로 만들) 인천 자체 매립지를 쓰면 된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유정복 당선자도 지난달 12일 새얼문화재단 초청 강연에서 “환경부가 대통령 당선인 공약사항 이행 보고 때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 예정지 부지를 제시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