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임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한번도 가보지 않은 ‘기준금리 0%대 시대’를 열었다. 한국은행은 16일 오후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행 연 1.25%에서 0.75%로 0.5%포인트 내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5일(현지시각) 또다시 긴급 통화정책회의를 열어 정책금리를 1%포인트 전격 인하하는 등 세계 각국의 통화완화 행렬이 이어지자 한은도 뒤늦게 동참한 것이다. 한은이 임시 금통위를 열어 금리를 내린 것은 ‘9·11 테러’ 직후인 2001년 9월(0.50%포인트)과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0.75%포인트)에 이어 세번째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임시 금통위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빨라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고 금융시장 불안이 국내 실물경제로 파급될 우려가 커졌다”고 금리 인하 배경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코로나19가 진정되지 않고 있어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치(2.1%)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앞서 금통위는 의결문에서 “국내외 금융·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만큼 앞으로도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영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통위는 금융중개지원대출 금리를 연 0.50~0.75%에서 0.25%로 인하하고 공개시장운영 대상 증권에 은행채까지 포함하는 등 유동성 확대 방안도 함께 내놨다.
이날도 국내 금융시장은 급락세가 멈추지 않았다. 글로벌 달러 유동성 경색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코스피 시장에서 6800억원이 넘는 주식을 내다 팔았다. 이에 코스피는 3.19%(56.58) 급락한 1714.86에 장을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1226원까지 치솟아 2016년 3월2일(1227.5원)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 연준은 지난 3일 정책금리를 전격 인하(0.5%포인트)한 데 이어 일요일인 15일 1%포인트나 더 낮추는 ‘빅컷’과 7천억달러 규모의 양적완화 조처를 긴급 단행했다. 연준 정책금리는 기존 1.00~1.25%에서 11일 만에 ‘제로금리’(0.00~0.25%) 수준으로 내려갔다. 정책금리 인하는 17일부터 이틀간 열릴 예정이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당겨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연준 정책금리가 0%(금리 하단 기준)로 떨어진 건 2008년 12월(2015년 12월까지 지속) 이후 처음이다.
연준은 성명서에서 “코로나19 충격은 알 수 없는(unknowable) 상황이다. 경제 데이터는 미국 경제가 도전적 시기에 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경제가 최근의 사태를 견뎌내고 최대 고용 및 물가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궤도에 올랐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현재의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를 마이너스로 인하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마이너스 정책금리가 미국에서 적절한 정책 대응이 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한광덕 조계완 기자
kdh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