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군 북면에 건설 중인 신한울 핵발전소 1·2호기.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이 신한울 핵발전소 1·2호기 바닥판을 전량 수거하도록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허술한 핵발전소 부품·설비 관리에 대한 우려가 커질 전망이다.
23일 한수원과 현대건설 등의 얘기를 종합하면, 문제가 된 신한울 핵발전소 바닥판은 현대건설이 협력업체로부터 사들여 설치한 것이다. 용접이 50%만 된 제품이라 한수원의 시공기술규격서가 정한 납품규격(전체 접합부 용접)에 미달한다. 그런데도 한수원은 2014년 4월 해당 바닥재의 외부기관 시험성적서를 토대로 ‘합격’ 판정을 내렸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외부기관의 부품 시험성적서를 통해 애초 한수원에서 제시한 하중과 미끄럼 방지 기능에 대한 납품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한수원이 바닥판의 불량 여부를 몰랐다는 것이다. 뒤늦게 경쟁 업체 제보를 받고서야 불량을 파악했다. 문제를 제기한 김상돈 벧엘엔지니어링 대표는 “부품 시험에 필요한 보다 정확한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바닥판 불량건은 2013년 ‘원전 납품비리’ 때를 떠올리게 한다. 한수원이 외부기관 시험성적서만 검토했다가 뒤늦게 불량을 깨닫고 이를 수거하는 모습이 같다. 당시 원전 납품비리 사건은 제이에스(JS)전선이 전력·제어·계장 케이블 시험성적표를 조작했다가 적발됐다. 이를 공모한 한수원 임직원들과 제이에스전선 고문, 부품 성능을 검사한 새한티이피 대표, 부품을 최종 승인한 한국전력기술 전 처장은 2014년 대법원에서 징역 2년6개월∼10년의 실형이 확정됐다. 엘에스(LS)그룹은 계열사 제이에스전선의 모든 사업을 정리했다.
다만 제이에스전선이 공급한 부품은 발전소 안전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제품이지만, 이번에 불량이 확인된 바닥판은 원자로 운영과 관련한 핵심 부품에 해당하는 ‘안전성 품목’(Q등급)은 아니다. 그러나 발전소 상업운전이 코앞에 다가오도록 불량을 인지하지 못한 점은 한수원의 ‘허술한 부품 관리’가 반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한울 1호기는 단계별 시험과 시운전을 거쳐 내년 4월, 2호기는 2019년 2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보수작업은 발전소 주 공정에 영향이 없도록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 쪽은 교체비용으로 100억원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전남 영광의 한빛원전 4호기도 제작, 정비 과정이 부실했다는 증거가 계속 나오고 있다. 한수원은 지난 18일 망치 등 금속 이물질 4개가 발견된 한빛 4호기의 증기발생기를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6일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한빛 4호기 격납고 내부강판 120곳이 부식돼 두께가 기준(5.4㎜)에 미달한다고 밝혔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일 국회에서 “한빛을 포함해 비슷한 방법으로 건설된 원전 10기에 대해 전수조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하얀 김성환 안관옥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